스터디스터디/회계

재고자산(1)

Sally_민지 2025. 2. 2. 17:56

최초 작성일: 2025-02-02

최종 작성일: 2025-02-02

 

목표: 회계 원리 잘 이해해보자 -> ERP로 이어서! (業에 탁월해지기)

 

1.재고자산의 의의와 중요성

(1) 정의/ 종류

기업이 통상적인 영업과정에서 궁극적으로 판매목적을 통해 보유하고 있는 자산

(자산 분류시 보유 목적이 중요)

  • 상품
  • 원재료 -> 재공품 -> 제품
  • 반제품(재공품의 상태에서 판매가능)

(2)중요성

 얼마만큼의 기말재고자산을 보고하느냐에 따라

회계 분식의 가장 대표적인 사항이 재고자산을 뻥튀게 하는것

기말재고자산이 커질수록기업의 이익이 커지므로 기업의 입장에서 재고자산은 중요함 

cogs -> I/S

기말재고 -> B/S

2.재고자산의 취득원가와 포함여부 결정

1) 취득원가 

자산의 취득원가 = 원래의 용도대로 판매혹은사용할 수 있을때 까지 드는 비용

(해당 용도에 맞게 판매/사용가능할때까지 지출된 금액) 

취득이 완료되는 시점 = 판매가 가능한 상태

자산의 취득원가는 자산으로 보고됨( 미래 경제적 효익 발생 필요)

재고자산의 취득 원가  : 구입 가격, 다양한 부대비용(매입부대비용)

 *환급가능한 세금을 취득원가에 포함시키지 않음

 *매입 할인, 매입환입/환출, 리베이트는 매입원가에서 차감시킴

 

2)포함여부결정 -> 실질 소유권 이전 여부

어디까지 나의 재고자산으로 볼 것인지(판단할 것인지)

회계에는 법적 형식 이랑경제적 실질을 따졌을 때,  둘중 하나만 선택해야한다고 하면 경제적 실질이 더 우선순위가 있음

재고자산 포맣의 가장 중요한 판단기준은 이미 매출인식이 되었느냐 그렇지 않느냐를 판단하는 것이다

 (1)미착상품

원격지 거래에서 발생

선적지 인도기준

-> 선적지 인도 기준인 경우에만 미착상품계정이 사용된다.

  차변 대변
7/10 미착상품 10,000 (재고자산도 오케이) 매입채무 10,000
7/30 상품 11,000 미착상품 10,000
현금         1,000

도착지 인도기준

  차변 대변
7/30 상품 11,000 매입채무 10,000
현금 1,000

 (2)적송품 : 위탁판매거래

위탁자--(적송품)-->수탁자--상품-->고객

위탁자가 매출인식하는 시점

 (3)시송품 : 시용판매(시험삼아 판매)

 

 

3.재고자산의 수량 파악방법

수량을 파악하는 방법 : 실질재고조사법과 계속기록법은 재고자산에 대한 수량을 관리 하는 방법

(1) 실사법 

기초수량 100 판매 800
매입 1,000 기말 300

(2) 계속기록법

기초수량 100 판매 800
매입 1,000 기말 300

 

-> 그래서 보통 실사법과 계속기록법을 같이 씀(병행법)

 

=용어= 

재고자산(inventory): 통상적인 영업과정에서 판매를 위하여 보유중이거나 생산중인 자산 및 생산이나 용역제공에서 사용될 원재료나 소모품

미착상품(goods in transit) : 원격지 또는 외국으로부터 상품을 매입하는 경우에 아직 매입자의 창고에 입고되지 않고 운송중에 있는 상품

적송품(consigned goods) : 위탁판매를 하기 위해 제 3자(수탁자)에게 상품을 발송하여 결산일 현재 수탁자의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상품

 

 

= Sum-Up=

재고자산의 의의와 중요성

-재고자산은 통상적인 영업과정에서 판매를 위하여 보유중이거나 생산중인 자산 및 생산이나 용역제공에 사용될 원재료나 소모품을 의미함

- 기말재고자산을 얼마로 평가하느냐에 따라 포괄손익계산서에 보고되는 당기순이익과 재무상태표에 보고되는 재고자산가액에 영향을 미침

 

재고자산의 취득원가와 포함여부 결정

-재고자산의 취득원가는 원래의 용도에 맞게 판매가능할때까지 불가피하게 지출된 금액이여, 재고자산의 구입가격뿐만 아니라 매입부대비용을 가산함

-재고자산의 포함여부는 법적 소유권과 경제적 실질을 모두 고려하여 판단해야함

-미착품은 선적지인도조건과 도착지 인도조건에 따라 기말에 포함되는 재고자산의 범위를 결정함

-선적지 인도조건 : 선적시점에 소유권이 상대방에게 이전되므로 선적지인도조건의 매입자는 운송중인 상품을 기말재고에 포함함

-도착지 인도조건 : 도착시점에 소유권이 상대방에게 이전되므로 도착지 인도조건의 매입자는 운송중인 상품을 기말재고에 포함하지 않음

-적송품은 수탁자가 고객에게 판매하기 전까지 위탁자의 기말재고에 포함함

-시송품은 시용매입자가 매입의사를 표시하기 전까지 판매자의 기말재고에 포함함

 

재고자산의 수량파악방법

-실질재고조사법: 기말실사를 통해 기말재고수량을 파악하며, 판매가능재고수량 중 기말재고수량을 제외한 나머지를 당기 판매수량으로 간주함

-계속기록법: 상품재고장에 입고와 출고를 모두 기록하여 장부를 통해 기말재고수량을 파악함

-실질재고조사법과 계속기록법은 모두 재고자산의 감모를 파악하기 곤란하므로 정학한 재고관리를 위해서는 두 방법을 병행하여 사용하여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