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터디스터디/회계

부채(4)

최초 작성일: 2025-03-11 

최종 작성일: 2025-03-12

 

1. 사채 발행기간의 이자비용 인식 방법의 이해

1) 유효이자율법에 의한 사채 이자비용 계산

화폐 시간 가치 = 현재 시점 - 미래 시점 ( 현재 10,000원을 빌린 후 1년 후에 11,000원을 상환하는 경우)

거래 전체에 내재된 이자요소 전체 = 유효이자

복리계산 방식 = 발생한 이자는 있지만, 현금이 지급되지 않은 경우 원금에 반영해야함

유효이자율 = 내재이자율

(사례) 만기는 3년, 원금 10,000원이 3년 후에 지급 ( 표시 이자율 = 10%)

20x1년도 초 사채 발행 ( 시장 이자율 = 10%)

1. 발행 금액 : 10,000 X PV(10%- 시장이자율, 3)

                        1,000 X PVA( 10%-시장이자율,3)

2. 유효이자총액 : 

     미래 CF = 13,000원

     현재 CF = 10,000원
유효이자총액 = 3,000원 ( = 표시이자)

3. 유효이자율법 상각표 ( 유효이자를 매회계기간 동안 나눠서 이자비용으로 처리)

3.1 액면발행 ( 시장 이자율 = 표시 이자율)

  유효이자 표시이자 유효이자- 표시이자 장부금액
(Book Value)
20X1초       10,000원(발행금액)
20X1말 10,000 X 0.1 =
1,000 원
1,000 원 0 원 10,000원
20X2말 1,000원 1,000원  0 원 10,000원
20X3말 1,000원 1,000원 0 원 10,000원
총액 3,000원 3,000원   10,000원

 

20X1년 말 이자비용 1,000원 / 현금 1,000원

*이자비용은 유효이자 처리 하고, 실제 지급되는 표시이자는 현금이 빠져나가는 상황으로 처리해 나가야 한다.

 

3.2 할인발행 ( 시장 이자율 12%, 표시 이자율 10%)

20X1년초 발행 (시장 r= 12%)

-발행금액

10,000 X PV (12%,3)

1,000 X PVA (12%,3)

9,520원 (할인)

-유효이자 총액

미래 CF = 13,000원

현재 CF = 9,520원

유효이자총액 = 3,480원 

표시 이자 3,000원

 사채할인발행차금:480원

-유효이자율법 상각표 

      사채할인발행
차금 상각액
(당초 인식되었던 금액을 줄여가면서 비용으로 처리 = 상각)
상각 후 원가
(복리 계산 구조에 따라 계속적으로 변동되는 금액)
  유효이자 표시이자 유효이자- 표시이자 장부금액
(Book Value)
20X1초       9,520원(발행금액)
20X1말 9,520 X 0.12 =
1,142 원
1,000 원 142 원
(지급해야할 의무는 발생했지만, 아직 지급 전 -> 원금에 가산)
9,662 원
(의무 상당액)
20X2말 9,662 X 0.12 =
1,159 원
1,000원  159원 9,821원
20X3말 9,821 X 0.12 =
1,179 원
1,000원 179  원 10,000원
(9,821 + 179)
총액 3,480원 3,000원 480원  

 

20X1년 초 현금 9,520 원 / 사채 10,000원

        할인발행차금 480원 /

20X1년 말 이자비용 1,142원 / 현금 1,000원

                                                할인차금 1,42원

20X2년 말 이자비용 1,159원 / 현금 1,000원

                                                할인차금 159원

 

3.3 할증발행 ( 시장 이자율 8%, 표시 이자율 10%)

-발행금액

10,000 X PV (8%,3)

1,000 X PVA (8%,3)

10,515원 (할증)

-유효이자총액

미래 CF 13,000

현재 CF 10,515

유효이자총액 2,485원

표시 이자 3,000원

사채할증발행차금(515원)

-유효이자율법 상각표 

      사채할증발행
차금 상각액
(당초 인식되었던 금액을 줄여가면서 비용으로 처리 = 상각)
상각 후 원가
(복리 계산 구조에 따라 계속적으로 변동되는 금액)
  유효이자 표시이자 유효이자- 표시이자 장부금액
(Book Value)
20X1초       10,515원(발행금액)
20X1말 10,515 X 0.8 =
841 원
1,000 원 (159원)

10,356 원
(10,515 - 159)
20X2말 10,356 X 0.8 =
828 원
1,000원  (172원) 10,184원
(10,356 - 172)
20X3말 828 X 0.8 =
816 원
1,000원 (184 원) 10,000원
(10,184 - 184)
총액 2,485원 3,000원 (515 원) -> 사채 할증발행 차금  

20X1초 현금 10,515원 / 사채 10,000원

                                       사채할증발행차금 515원

20X1 말 이자비용 841원 / 현금 1,000원

 사채할증발행차금 159원

2. 사채의 상환과정 이해

1) 사채 상환의 의의

조달된 사채를 후속적으로 갚아가는 것

만기일에 액면가 만큼 갚아야 함

상환 시 회계 처리는 사채의 액면 금액 만큼 현금과 사채(부채)를 털어주는 것 ( 각각 차변, 대변)

*지급되는 현금과 소멸되는 사채 장부금액이 일치하므로 사채의 상환에 따른 이익이나 손실은 발행하지 않는다.

2) 사채 상환의 특성

[사채의 할인 발행]

 

cf) 사채의 중도 상환

상환 될때 지급되는 금액-(사채의 BV = 상각 후 원가 (AC)) = 상환 손익

사채 BV = 잔여 현금 흐름(CF)/(1+r)의 n승 -> 잔여 현금 흐름을 그 시점의 가치로 현금 할인하는 것

상환 될 때 지급되는 금액 = 공정가치(FV) ,공정한 시장 가격)에 따라 계산 됨 = 잔여 CF/(1+r)의 n승

r -> 사채 bv의 경우, 시장 r 적용, 상환될 떄 지급되는 금액의 경우 유효r 을 적용

풀어볼 문제 (1/2)
풀어볼 문제 (2/2)

 

 

 

=용어=

유효이자율법 : 거래에 내재된 유효이자율에 의해 매년 인식할 이자(채무자의 경우는 이자비용, 채권자의 경우는 이자수익)를 계산하는 방법

사채할인발행차금과 사채할증발행차금의 유효이자 영향 :

-사채할인발행차금 : 유효이자 = 현금이자 + 사채 할인발행 차금

-사채할일발행차금 : 유효이자 = 현금이자 - 사채 할증 발행 차금

 

=요약=

사채 발행기간의 이자비용 인식방법의 이해

-사채의 이자비용은 유효이자율법에 의하여 계산함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하는 경우, 이자비용은 기초 사채장부금액에 발행 시점에 확정된 사채발행거래의 내재이자율인 시장이자율을 유효이자율로서 적용함

-사채가 할인발행 된 경우 : 매기 유효이자 증가, 상각후 원가증가. 사채할인발행차금 상각액 매기 증가

-사채가 할증발행된 경우 : 매기 유효이자 감소, 상국후 원가 감소, 사래할증발행차금 상각액 매기 증가

사채의 상환과정 이해

-사채발행에 의하여 조달된 자금은 사채권자에게 반환하는 것을 사채의 상환이라고 함

-사채는 일반적으로 만기에 일시 상환되며, 중도에 상환되는 경우도 있음

-사채를 만기에 상환하는 경우에는 상각 후 원가가 액면금액과 일치하므로 상환으로 인한 손익을 발생하지 않음

-사채를 만기 시점 이전에 상환하는 경우에는 지급되는 금액과 소멸하는 사채의 상각 후 원가의 차액만큼 이익이나 손실이 발행할 수 있음

 

 

*사채를 발행한 기업은 사채의 액면(표시)이자 해당액을 포괄손익계산서에 이자비용으로 인식한다 

-> 아님

->액면발행 시 사채 이자비용은 액면이자와 동일하지만, 할인발행 또는 할증발행의 경우에는 사채할인(할증)발행차금 상각액을 액면이자에 가감한 금액을 이자비용으로 인식한다.

 

 

=사채발행비가 존재하는 경우의 유효이자와 유효이자율

사채의 발행 

사채는 발행시점의 시장이자율에 따라 측정된 현재가치 즉, 공정가치에 따라 발행됨 -> 그 발행금액과 이후 사채 만기까지의 명목현금흐름 총액의 차이 -> 이사채에 관련된 유효이자가 됨

 

사채의 발행금액

-> 사채의 현금흐름을 시장이자율에 따라 현재가치로 할인한 금액으로 측정되므로 사채의 유효이자율은 곧 발행금액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시장이자율과 일치함 -> 그런데, 사채 발행비와 같은 사채의 발행원가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사채발행비는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합리적일까?

 

'스터디스터디 >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P]금융자산(2)  (0) 2025.03.17
금융자산(1)  (1) 2025.03.13
부채(3)  (1) 2025.03.10
부채(2)  (1) 2025.03.09
리포트  (0) 2025.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