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P (107) 썸네일형 리스트형 CoA, G/L Account, General Ledger 정리하면:Chart of Accounts (계정과목표)→ "회사에서 사용할 G/L Account 목록" (틀)G/L Account (계정과목)→ "Chart of Accounts에 속한 개별 계정"→ 전표 입력할 때 차변/대변에 지정하는 대상General Ledger (총계정원장)→ "전표가 실제 기록되는 장부"→ G/L Account를 단위로 거래 내역이 쌓여 잔액 관리📌 즉,COA는 "계정의 정의서"G/L Account는 "계정의 실체"General Ledger는 "그 계정을 사용해 작성된 실제 회계 장부" WIP-[ERROR]G/L Account에 대한 TAX CODE 설정 방법 확인 필요 Journal Entry Type (Chat GPT 짱 ) Journal Entry (전표, 모든 회계 기록) ├─ 고객 전표 (DR) ├─ 벤더 전표 (KR) ├─ 자산 전표 (AA) ├─ 급여 전표 (PY) └─ G/L 전표 ├─ SA (수동 G/L Account Document) └─ SB (시스템 G/L Account Posting) Public Cloud 기준Journal Entry Type 아래에서 보이는 항목:Journal Entry가장 일반적인 전표 유형을 말해요.특정한 기능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회계 거래를 포괄하는 “표준 전표” 카테고리.예: 일반 매출, 매입, 급여 전표, 자산회계 전표 등등.SA (G/L Account Document)순수 G/L 전표 유형이에요.벤더, 고객 같은 서브레저(SL) 없이, G/L 계정만 .. [WIP] Business Partner Conversion PJT 회고 (25.07~25.08) ECC -> S4HANA 컨버젼 기준으로 BP에서 해야할 일1. CVI_Cockpit 및 MDS_BP_Maintain을 통해 기존 ECC 에 있는 customer, vendor 정보를 토대로 BP code 생성활용한 T-CodeSNOTE, CVI_Cockpit(동기화 수행)MDS_LOAD_COCKPIT(Customer/Vendor BP 싱크 확인하는 프로그램)활용한 테이블 : but000, kna1, lfa1, CVI_CUST_LINK, CVI_VEND_LINK, SNOTE이슈 사항Tax Type : tax type 세팅 관련해서 적어둔 거 찾아서 업데이트 필요Data Consistency : CVI 니까 KNA1, LFA1 에서 kunnr, lifnr로 매핑 되어 있는 거는 삭제 하고 돌려야 함pos.. BP 관련 블로그 https://hksap.tistory.com/m/819 BP 역할 관련BP 역할 관련몇일전 BP role에 관련해서 물어보시는 분이 있어서 예전 ECC나 R/3때 Vendor/Customer account group과 유사한 역할이 아닐까 답변 드렸는데.. 찾아보니 역할에 유효기간 관리도 가능함 - -;(예hksap.tistory.comhttps://m.blog.naver.com/sapfcmhub/222669997719 비즈니스 파트너(Business Partner)매출채권/매입채무 거래의 귀속 거래처로, Business Partner 별 입력된 거래처 속성은 보조 원장과 연계...blog.naver.comhttps://help.sap.com/docs/SAP_S4HANA_ON-PREMISE/74b0b1.. 관련 블로그 https://m.blog.naver.com/sapfcmhub/222669997719?recommendTrackingCode=2 비즈니스 파트너(Business Partner)매출채권/매입채무 거래의 귀속 거래처로, Business Partner 별 입력된 거래처 속성은 보조 원장과 연계...blog.naver.comhttps://hksap.tistory.com/819 BP 역할 관련BP 역할 관련몇일전 BP role에 관련해서 물어보시는 분이 있어서 예전 ECC나 R/3때 Vendor/Customer account group과 유사한 역할이 아닐까 답변 드렸는데.. 찾아보니 역할에 유효기간 관리도 가능함 - -;(예hksap.tistory.comhttps://blog.naver.com/paraegim7.. Unified Way for User Management & Common Identity Unified Way for User Management는 다양한 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계정을 중앙화된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조직은 사용자 계정 생성, 권한 부여, 인증, 그리고 계정 비활성화 등을 일관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주요 특징:중앙 집중화모든 사용자 데이터와 설정을 단일 플랫폼에서 관리.중복된 사용자 정보 관리를 제거하고, 데이터 불일치를 방지.일관된 정책 적용접근 권한, 비밀번호 정책, MFA 설정 등과 같은 보안 및 인증 규칙을 모든 시스템에 동일하게 적용.다양한 시스템 간 동기화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시스템 간의 사용자 데이터 통합 및 동기화.SAP ERP, SuccessFactors, Salesforce 등 여러 시스템에서 동.. MFA(Multi-Factor Authentication) MFA(Multi-Factor Authentication) : 다단계 인증사용자가 시스템에 접근할 떄 두 가지 이상의 인증 요소를 요구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MFA의 주요 인증 요소:1. Something you know : 비밀번호, PIN 번호등2. Something have : 스마트 폰, 보안 토큰, 인증 앱 등3. Something you are (사용자 자체) : 생체 정보 ( 지문, 얼굴 인식, 홍채 등) 예시 : 은행 앱 로그인 시 1. 비밀번호 입력(알고 있는 것)2. 스마트 폰으로 받은 인증코드 입력 (가지고 있는 것) MFA는 비밀번호만 사용하는 단일 인증(Single-Factor Authentication)보다 훨씬 안전하며, 특히 비즈니스 시스템과 클라우드 환경에서 많이 사용됨. 이전 1 2 3 4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