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하면:
- Chart of Accounts (계정과목표)
→ "회사에서 사용할 G/L Account 목록" (틀) - G/L Account (계정과목)
→ "Chart of Accounts에 속한 개별 계정"
→ 전표 입력할 때 차변/대변에 지정하는 대상 - General Ledger (총계정원장)
→ "전표가 실제 기록되는 장부"
→ G/L Account를 단위로 거래 내역이 쌓여 잔액 관리
📌 즉,
COA는 "계정의 정의서"
G/L Account는 "계정의 실체"
General Ledger는 "그 계정을 사용해 작성된 실제 회계 장부"
'SAP > FI'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P-[ERROR]G/L Account에 대한 TAX CODE 설정 방법 확인 필요 (0) | 2025.08.20 |
---|---|
Journal Entry Type (Chat GPT 짱 ) (0) | 2025.08.20 |
[SAP Bible FI 상] Master Data (0) | 2023.06.15 |
/WIP/[SAP Bible FI 상] Organizational Unit (0) | 2023.06.13 |
[SAP Bible FI 상] FI Overview (1) | 2023.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