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터디스터디/원가관리회계

보조부문 원가의 배부

최초 작성일 : 2025-06-07

최종 작성일: 2025-06-07

 

1절 원가배부의 목적

1.1 추적 가능성에 따른 원가의 구분

1.1.1 직접원가와 간접원가

원가대상: 원가가 집계되는 단위(장소)

예) 제품, 부문, 활동, 사업부

직접원가 : 특정 원가대상에 직접 추적할 수 있는 원가

예)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간접원가 : 특정 원가대상에 추적할 수 없는 원가

예)제조간접원가

1.2 원가할당

원가를 원가대상에 적절히 할당하는것

원가추적 : 직접원가를 특정 원가 대상에 할당하는것

원가배부(원가배분) : 간접원가를 특정 원가대상에 할당하는 것 / 합리적인 원가배부기준 사용

1.3 원가배부의 목적

1.3.1 외부 재무보고(제품원가계산) 측면

외부보고 목적의 재무제표를 작성할 때 재고자산의 평가 및 매출원가를 결정하기 위하여 원가배부

1.3.2 의사결정 측면

경영자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 제공

1.3.3 성과평가 및 동기부여(통제) 측면

2절 원가배부기준 결정 시의 지침

2.1 개요 

원가 배부를 위해서는 합리적인 배부기준의 설정이 필요함

  • 인과관계기준 : 원가의 발생이라는 결과를 유발하는 원인에 따라 원가를 배부
  • 부담능력기준 : 원가를 부담할 수 있는 능력에 비례하여 원가를 배부
  • 수혜기준 : 원가발생으로 인하여 원가대상이 경제적 효익을 얻을 경우, 제공받은 효익의 크기에 비례하여 원가를 배부
  • 공정성 및 공평성 기준

 

3절 보조부문원가의 배부방법(1)

3.1 개요

제조부문과 보조부문

제조부문 : 직접 제품을 생산하는 부문 -> DM,DL,OH

보조부문 : 직접 제품을 생산하지 않고 제조부문을 보조하는 부분 -> OH

보조부문원가 배부의 개요

 

3.1 보조부문 상호간의 용역 수수관계 인식 여부에 따른 보조부문원가의 배부 방법

3.1.1 직접배부법

보조부문 상호 간의 용역수수관계를 전혀 인식하지 않는 방법

보조부문원가를 다른 보조부문에 전혀 배부하지 않고 제조부문에만 배부

3.1.2 단계배부법

보조부문 상호 간의 용역수수관계를 부분적으로만 인식하는 방법

보조부문원가의 배부 순서를 정한 후, 순서에 따라 보조부문원가를 보조부문과 제조부문에 배부

배부가 끝난 보조부문에는 다른 보조부문의 원가를 배부하지 않음

3.1.3 상호배부법

보조부문 상호 간의 용역수수관계를 완전히 인식하는 방법

보조부문과 제조부문의 용역수수관계를 방정식을 이용하여 계산

=자기 부분의 발생원가 + 타 보조부문으로부터 배부받은 원가

A = 200,000 + 0.2 B

B = 100,000 + 0.375A

 예시)

구분 보조부문 제조부문
동력부문(A) 공장관리부문(B) 기계가공부문© 조립부문(D)
동력부문(A)   37.5 37.5 25 100
공장관리부문(B) 20   60 20 100
발생원가(OH) 200,000 100,000 400,000 300,000 1,000,000

 

'스터디스터디 > 원가관리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제개별원가 (1/2)  (0) 2025.06.16
제조간접원가의 배부  (1) 2025.06.11
제조기업의 원가흐름(2)  (1) 2025.06.06
제조기업의 원가흐름(1)  (1) 2025.06.06
원가의 개념 및 분류  (0) 2025.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