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 작성일 : 2025-06-11
최종 작성일 : 2025-06-11
단일배부율법은 변동원가와 고정원가를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배부기준을 적용하여 배부한다
이중배부율법은 변동원가와 고정원가를 구분하여 각각 다른 배부기준을 적용하여 배부한다
1절 보조부문원가의 배부방법(2)
1.1 개요
1.2 변동원가와 고정원가 구분 여부에 따른 보조부문원가의 배부방법
- 단일배부율법 : 변동원가, 고정원가 구분 안함
- 보조부문원가(변동원가+고정원가) ---실제사용량---> 제조부문
- 이중배부율법 : 변동원가와 고정원가를 구분하여 각각 다른 배부기준을 적용하여 배부하는 방법
- 보조부문원가 -> 1) 변동원가 -실제사용량 -> 제조부문
- 보조부문원가 -> 2)고정원가 - 최대사용량 -> 제조부문
- 변동원가 : 실제 사용량을 사용하여 배부 / 조업도에 비례해서 총 원가 변동
- (보조부문의 변동원가는 실제로 제조부문에서 사용한 용역량에 비례하여 발생)
- 고정원가 : 최대 사용가능량 또는 예산사용량을 사용하여 배부
- (보조부문에서 고정원가를 발생시키는 고정자산 제조부문의 최대조업도에 맞게 구축하는 것이 일반적임)
2절 제조부문 제조간접원가의 배부
2.1 제조부문 제조간접원가 배부의 개요
2.2 부문별 제조간접원가 배부율을 이용하여 배부하는 방법
제조부문별로 배부기준을 선정
제조부문별로 제조간접원가배부율을 계산
여러개의 보조부문이 존재하는 경우 보조부문원가를 제조부문에 우선 배부해야함 (선행)
- 기계가공부문 OH -기계가공부문 oh 배부율 ->제품
- 조립부문OH -조립부문oh배부율->제품
2.3 공장전체 제조간접원가배부율을 이용하여 배부하는 방법
- 공장전체oh (기계가공부문oh + 조립부문 0h) - 공장전체oh 배부율 -> 제품
- 공장전체에 하나의 배부기준을 선정
- 공장전체 제조간접원가를 공장전체 배부기준수 합계로 나누어 공장전체 제조간접원가배부율을 계산
- 여러개의 보조부문이 존재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보조부문원가를 제조부문에 배부할 필요가 없음
=sum-up
보조부문원가의 배부방법(2)
(1) 단일배부율법 : 변동원가와 고정원가를 구분하지 않고, 동일한 배부율을 적용하여 배부하는 방법
(2) 이중배부율법 : 변동원가와 고정원가를 구분하여, 변동원가는 실제사용량을 기준으로 배분하고, 고정원가는 최대사용가능량 또는 예산사용량으로 배부하는 방법
제조부문 제조간접원가의 배부방법
(1) 부문별 제조간접원가 배부율
제조부문별로 배부기준을 선정하여 제조부문별로 제조간접원가배부율을 계산한 후 제조부문별로 각각 제조간접원가를 제품에 배ㅂ하는 방법
여러개의 보조부문이 존재하는 경우 보조부문원가를 제조부문에 우선 배부하여야함
(2) 공장전체 제조간접원가 배부율
공장전체에 하나의 배부기준을 선정하여 공장전체 제조간접원가배부율을 계산하여 배부하는 방법
여러 개의 보조부문이 존재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보조부문원가를 제조부문에 배부할 필요 없음
'스터디스터디 > 원가관리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상개별원가계산 (0) | 2025.06.16 |
---|---|
실제개별원가 (1/2) (0) | 2025.06.16 |
보조부문 원가의 배부 (2) | 2025.06.06 |
제조기업의 원가흐름(2) (1) | 2025.06.06 |
제조기업의 원가흐름(1) (1) | 2025.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