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 작성일: 2023년 4월 11일
최종 작성일: 2023년 4월 11일
목표: SAP mm모듈 쀼셔
오늘 진도표(55강~57강)
Releasing Purchasing DocumentsConverting Released Purchase RequisitionsConfiguring Release Procedures in Customizing
Unit 6: document release procedure (결재 프로세스, PR,PO이 주임)
Lesson 1 : releasing purchasing documents
Lesson 2: converting released purchase requisitions
Lesson 3: configuring release procedures in customizing
Lesson 4: creating release procedures
Lesson 5: setting up flexible workflows in purchase
Lesson 1 : releasing purchasing documents
- Objectives
- release blocked purchasing documents
- learn about
- blocked purchasing documents release
- block의 경우, 그 후속 업무가 안되는 것임 예를들어 pr이 blocked경우, 그 후속 서류인 po로 넘어가질 않음( 보통 pr에 대해서 매니저가 승인을 해줘야 unblocked되고 po로 넘어갈 수 있음)
- release procedures for purchase requisitions
- key terms for release procedures
- blocked purchasing documents release
- watch
- how to release purchase requisitions
- do
- release purchases requisitions
- figure65 : purchase requisition release
- figure66 : overall and item-wise release of purchase requisitions
- overall : overall
- item-wise : item별로
- 비고: overall로 할지 item-wise로 할지는 pr의 configuration 에서 설정해야함
- figure 68: release procedures for purchase requisition - key term
- configuration에서 설정한 조건이 부합하면 release strategy 탭이 생김
- release code는 결재 라인
- release indicator는 현재 상태임(blocked - 후속 업무 진행 못함)
- release group 는 결재도 여러 종류가 있을 것인데, 결재의 종류 혹은 유형이라고 생각 하면 됨.
- release stratery
- practical practice 1 - release strategy가 포함된 PR생성 후 PO생성하기
- t-code: me51n,me21n,me54n
- 절차: pr생성 -> po생성 안되는 거 확인 -> pr display통해서 pr 승인 -> po 생성
- t-code: me51n,me21n,me54n
Lesson 2 :Converting Released Purchase Requisitions
- Objectives
- convert released purchase requisitions into purchase orders(release process를 수행하는 내용이 있음)
- learn about
- release procedure for purchasing documents
- watch
- how to convert released purchase requisitions into purchase order
- do
- created and release purchase orders
- figure 69: overall release for purchasing documents (메세지 출력)
- figure70: release procedures for purchasing documents - key terms
- code: 결재자
- release group: 릴리즈 유형
- release strategy: 릴리즈가 어떻게 진행 될지
practical practice 1 (release strategy탭이 생긴 PO 승인하기, PR이나 PO나 release category가 생긴 것을 승인하는 프로세스는 동일함_diplay에서 승인 선택하면 됨. configuration 공부에 좀더 집중해보자)
t-code: me21n, ME29N
Lesson 3 :configuring release procedures in customizing
- Objectives
- check customizing settings for release procedures
- learn about
- release procedure customizing
- characteristic and class creation(configuration하기 위한 선제 조건들)
- watch
- how to set up release procedures for purchase requisitions
- do
- check settings for release procedures (configuration할 수 있어야함)
- release procedure customizing
- procedures without classification
- classification
- PO나 PR을 낼때 회사마다 결재라인이 다양할것.
- 해당 내용을 SAP에서 반영할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음
- classification
- procedures with classification
- procedures without classification
- figure 71: definition of release criteria
- characteristics
- 데이터 구조체에서 특정 데이터를 가지고 오는 것
- 참고로 아래 그림에서 ceban은 pr db테이블, cekko는 po헤더 테이블임
- classification
- 위 characteristics상 데이터를 필요에 맞게 그룹핑함 ( 예를들어 ceban-pr db테이블에서 plant가 0001인것 , cekko에서 po가 release된것을 그룹핑함)
- multiple values의 의미는 value를 한개 이상 입력 가능
- customizing
- defining release group하는 것으로
- release group에 따라 overall release(하나의 아이템에 대해서만 release할지)할지 여부와 앞서 classfy한 class를 해당 release group에 assign함.
- RELEASE GROUP은 우리회사의 어떤 결재에 대한 유형들임 ( 예를 들어 01은 설비 자재 결제 이렇게 정의 내릴 수 있음)
- RELEASE CLASS : Characteristics에 따라 class만든것을 assign하는 것
- characteristics
- figure 72: release codes (결재자)
- definition of release codes (누가 어싸인이 됐는지 정의 하는것)
- release group 01은 결재자가 z1,z2가 있음
- release strategy, release group, release code, release indicator가 각각 무엇을 의미하는 지 이해하고 configure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야 함( 정말 중요한 포인트임)
- figure 73: release indicator(release 상태)
- figure 74: release strategies (가장 마지막에 configure하는 내용)
- release 그룹 정의, release strategy를 해당 그룹에 assign함
- release status = release indicator
- classification = release 수행하는 대상 = 해당 조건에 해당 되면 release를 통해 결재 승인을 받아야함
- definition of release strategy의 상세 설명
- release prerequisites : z1이 승인을 해줘야 z2가 승인이 가능하다는 의미임
- release statuses : release status를 설명하는 것으로 앞서 release prerequisites에서 언급한대로 z1,z2가 승인하지 않아 status가 blockes으로 되어 있고 z2가 승인했는데 z1이 승인을 안할 수 는 없음(왜냐면 prerequisites에서 z1이 승인해야 z2가 승인 가능하다고 설정해두었기 때문에)
- classification :class group에 대한 상세 설명임
- 순서
- release group에 release strategy assign하고
- release prerequisition 설정
- release status 설정
- classification 값 확인하기
- practical practice - 01 (PR Release strategy 확인 하기)
- T-CODE: SPRO
- 경로: mm -> purchasing -> PR -> release procedure -> procedure with classification -> set up procedure with classification
- release strategies (01-z0)
- release code (결재자)
- release prerequisites
- release status
- release strategies (01-z0)
- 경로: mm -> purchasing -> PR -> release procedure -> procedure with classification -> set up procedure with classification
- T-CODE: SPRO
'SAP > MM' 카테고리의 다른 글
[TS450]58강~59강 (0) | 2023.04.17 |
---|---|
오예 1 -> 하나 끝! (0) | 2023.04.08 |
[C_TS452_2021] 헷갈리는 것 (0) | 2023.04.07 |
[C_TS452_2021] Day 03. (0) | 2023.04.06 |
[C_TS452_2021] Day 02. (0) | 2023.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