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 작성일: 25-07-06
최종 작성일: 25-07-06
1절 공손의 개념
불합격품
1.1 개념
품질 및 규격이 표준에 미달하는 불합격품
폐기 또는 재가공하여 판매됨
1.1.2 정상공손
양질의 제품을 얻기 위하여 생산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공손
회피 불가능한 공손
1.1.3 비정상공손
작업자의 부주의, 생산계획의 미비 등의 이유로 발생하는 공손
제조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면 방지할 수 있는 공손
회피 가능한 공손
2절 정상공손수량과 비정상공손수량의 파악
2.1 기본가정
실제 물량 흐름을 이용하여 파악
공손은 생산공정의 전 과정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지만, 품질검사 시점에 발견되기 때문에 품질검사가 이루어지는 시점에 일시에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함
2.2 정상공손수량 및 비정상공손수량의 파악방법
1단계 전체 공손수량 파악
기초재공품 수량 + 당기 착수량 - 완성품 수량 - 기말재공품 수량 = 전체 공손수량
2단계 정상 공손수량 파악
정상공손허용률 이용
검사시점 통과 기준(합격기준)
정상공손허용량 = 당기 중 검사를 통과한 정상품 수량 X 정상공손 허용률
3단계 비정상 공손수량 파악
비정상공손수량 = [1단계] 전체 공손수량 - [2단계] 정상공손수량
2.3 정상공손수량 및 비정상공손수량 파악 사례
3.1 물량흐름 분석
3.2 20%/50%시점에서 품질검사를 하는 경우
20%/50%지점에서 품질검사를 한 경우 당기에 합격한 수량
정상공손 수량은 당기 중 검사를 통과한 정상품 수량임
전체공손수량보다 정상공손수량이 더 큰 경우 ( 이때 정상공손허용량은 최대임. 따라서 정상공손수량이 더 큰 경우, 전체 공손수량 전부가 정상공손수량으로 보면 됨)
3절 공손품 회계의 기본가정과 회계처리 방법
3.1 공손품 회계의 기본 가정
3.1.1 공손은 검사시점에서 일시에 발생
공손은 생산공정의 전 과정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발생하지만, 품질검사 시점에 발견되기 때문에 품질검사가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발생한다고 가정함 -> 검사시점 이후에는 더 이상 공손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함
3.1.2 공손의 완성도는 품질검사 시점과 일치
공손이 발생하면 가공하지 않고 즉시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품질검사 시점과 공손의 완성도는 일치한다고 가정함
3.1.3 모든공손품은 당기에 착수한 물량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아 당기투입원가만을 공손품에 배부함
기초 재공품이 당기에 검사시점을 통과한 경우, 기초재공품에서도 공손이 발생하기 때문에 기초재공원가를 공손에 배부하는 것이 이론적으로 타당하지만, 실익이 없고 원가계산이 복잡해짐
3.2 공손의 회계처리 방법
3.2.1 공손을 인식하는 방법(인식법) - 공손은 완성품 환산량 계산에 포함시킴
- 공손을 정상공손과 비정상공손으로 분리하여 1)정상공손원가는 정상품원가에 가산하고, 2)비정상공손원가는 발생된 기간에 비용으로 처리함
- 정상공손원가의 배부
- 기말재공품이 검사를 받았는 가 - no -> 완성품에만 배부
- yes -> 완성품, 검사받은 기말재공품에 배부 => 배부기준 :물량(수량)
- 기말재공품이 검사를 받았는 가 - no -> 완성품에만 배부
3.2.2 공손을 인식하지 않는 방법 (무인식법)
- 공손을 완성품환산량 계산에 포함시키지 않음
- 정상공손원가와 비정상공손원가는 모두 완성품 원가와 기말재공품 원가에 포함됨
- 단점
- 정상공손원가가 검사를 통과하지 않은 기말재공품에도 배부됨
- 비정상공손원가가 당기에 비용처리가 되어야 함에도 제품원가에 포함됨
=sum-up
1. 공손의 개념
(1) 공손품
품질 및 규격이 표준에 미달하는 불합격품
폐기 또는 재가공하여 판매됨
(2) 정상공손
양질의 제품(합격품, 정상품)을 얻기 위하여 생산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공손
회피 불가능한 공손
(3) 비정상공손
작업자의 부주의, 생산계획의 미비 등의 이유로 발생하는 공손
제조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면 방지할 수 있는 공손
회피 가능한 공손
2. 정상공손수량 및 비정상공손수량의 파악
[1단계] 전체 공손수량 파악
기초재공품 수량 + 당기 착수량 - 완성품 수량 - 기말재공품 수량 = 전체 공손 수량
[2단계] 정상 공손수량 파악
정상공손허용량 = 당기 중 검사를 통과한 정상품 수량 x 정상 공손 허용량
[3단계] 비정상 공손수량 파악
비정상공손수량 = [1단계] 전체공손수량 - [2단계] 정상 공손수량
3. 공손품 회계의 기본가정과 회계처리 방법
1) 공손품 회계의 기본가정
(1) 공손은 검사시점에 일시에 발생
(2) 공손의 완성도는 품질검사 시점과 일치
(3) 모든 공손품은 당기에 착수한 물량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아 당기 투입원가만을 공손품에 배부
2) 공손의 회계처리 방법
(1) 공손을 인식하는 방법 (인식법)
(2) 공손을 인식하지 않는 방법 (무인식법)
'스터디스터디 > 원가관리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활동기준원가계산의 기초개념 (2) | 2025.07.14 |
---|---|
공손이 발생할 경우의 종합원가계산 (1) | 2025.07.10 |
연속된 제조공정에 대한 종합원가계산 (0) | 2025.06.30 |
종합원가계산의 물량흐름 (1) | 2025.06.22 |
종합원가계산의 기초개념 (0) | 2025.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