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터디스터디/원가관리회계

활동기준원가계산의 기초개념

최초 작성일: 25.07.14

최종 작성일: 25.07.19

 

활동기준원가계산은 생산량(조업도)과 관련된 배부기준 대신 활동별원가의 발생을 유발하는 원가동인을 배부기준으로 제조간접원가를 배부하는 원가계산방법 이다

 

 

1절 전통적 원가계산방법의 문제점

개별원가 계산 - 소량의 제품 주문 생산(각 작업별로 원가계산),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 작업별로 추적/ 제조간접원가는 직접 교부

배부기준 = 생산량이 늘어나면 직접 노동시간이 늘어날 것 -> 직접노무원가가 커질 것, 

제조간접원가를 생산량과 관련된 배부기준을 결정해서 제조간접원가를 계산함

 

종합원가 계산- 대량 연속 생산, 직접 재료 원가, 가공원가(직접노무원가 , 제조간접원가)

제조간접원가는 완성품과 기말 재공품에 배부하는 기준은 완성품 환산량임 (생산량과 관련된 배부기준임)

 

※개별원가 계산이나 종합원가 계산 모두 생산량과 관련된 배부기준임

 

1.1 활동기준원가계산(ABC :Activity Based Costing)

생산량(조업도)과 관련된 배부기준 대신 활동별 원가의 발생을 유발하는 원가동인을 배부기준으로 제조간접원가를 배부하는 원가계산방법

하나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여러 활동들이 필요함

제품에 바로 배부하는 것이 아니라

1) 제조간접원가는 활동에 먼저 배부함(활동원가)

2) 활동별로 원가의 발생을 유발하는 것을 원가동인 (활동별로 원가를 발생하는 것이 다름) 

1.2 전통적 원가계산방법

  •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 원가 : 제품에 직접 추적함
  • 제조부문에 집계된 제조간접원가 : 직접노무원가, 직접노동시간, 기계시간과 같은 생산량과 관련된 배부기준을 이용하여 제품에 배부

1.3 전통적 원가계산 방법의 문제점

  • 생산량과 관련된 제조간접원가 : 생산량과 관련된 배부기준을 사용
  • 생산량과 무관한 제조간접원가 : 생산량과 무관한 다른 배부기준을 사용
    ▶ 전통적 원가계산 : 모든 제조간접원가에 대하여 생산량과 관련된 배부기준을 사용하고 있음
    ▶ 생산량과의 관련성을 무시하고 모든 제조간접원가에 대해 생산량과 관련된 배부기준을 사용하면 제조간접원가 배부의 정확도가 낮아지고 원가계산의 정확도가 낮아짐
    →(결론) 정확한 의사결정을 하기 어려워짐

 

 

2절 활동기준원가계산의 도입배경

2.1 소품종 대량생산 시스템에서 다품종 소량생산 시스템으로 변화

대규모 설비투자, 각종 정보수집비용의 증대 초래

제품생산을 지원하는 다양한 활동들이 빈번히 발생하게 되었지만, 이러한 활동은 생산량에 비례하여 발생되지 않는 경우가 많음

소품종 대량 -> 다품종 소량 ( 제품 생산을 지원하는 다양한 활동 ) 

작업준비 활동 -> 생산량과 무관하게 발생하는 여러가지 활동들이 발생

생산량과 관련된 배부기준만 사용하는 전통적인 원가계산에서 새로운 원가계산 필요

 

2.2 제조원가 중에서 제조간접원가의 비중이 커짐

  • 제조간접원가의 비중이 작은 제조환경에서는 생산량과 무관한 제조간접원가에 대해서 생산량과 관련된 배부기준을 사용하여도 정확한 원가계산과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음
  • 최근 들어 제조간접원가의 비중이 커지며 생산량과 무관한 제조간접원가에 대해서 생산량과 관련된 배부기준을 사용하게 되면 원가의 정확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함

2.3 정보수집기술의 발달

  • 활동기준원가 계산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정보를 수집하여야 하는데, 정보수집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적은 비용으로 수집이 가능해짐

3절 활동기준원가계산의 기본개념

3.1 기본가정

활동은 자원을 소비하고, 제품은 활동을 소비한다

노동력, 전력 -> 구매주문, 기계작업 -> 제품 A,B

 

자원원가 = 급여, 전력비

자원원가를 활동에 배부해야하는 데, 그러한 배부기준을 자원동인이라고 함

예시)

노동력(급여 -1,000)-> 구매주문, 기계작업

전력(전력비 - 1,000) -> 구매주문, 기계작업

 

급여 -> 노동시간을 배부기준으로

전력비 -> 전력사용량을 배부기준

 

구매주문 -> 1,800 (활동에 집계된 원가 = 활동원가)

기계작업 -> 200   (활동에 집계된 원가 = 활동원가)

 

a 제품 = 950

b 제품 =1,050

 

구매주문횟수 혹은 기계작업 시간(원가동인)을 기준으로 활동원가를 제품에 배부 

 

3.2 활동

3.2.1 활동의 개념

자원을 사용하여 가치를 창출하는 작업(가치가 있는 제품을 만들어내는 작업)

기업 내에서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원을 소비하는 작업

활동수준(Activity Level)의 구분 : 제품단위 수준활동, 묶음수준 수준활동, 제품수준, 설비 수준

① 제품단위 수준활동

제품의 생산수량에 비례하여 수행되는 활동

예) 노동활동, 기계활동, 모든 제품에 대한 품질검사 활동(전수검사)

단위수준원가: 생산량에 비례하여 발생하는 원가

 

② 묶음수준 활동

생산수량과 관계없이 제품의 묶음별로 수행되는 활동

예) 구매주문활동, 작업준비활동, 자재이동활동

묶음수준원가 : 묶음 수에 비례하여 발생하는 원가

 

③ 제품수준활동 (제품유지활동)

제품 종류의 수에 비례하는 활동

예) 제품설계활동, 제품개량활동, 공정기술변경활동

제품유지원가: 제품 종류에 비례하여 발생하는 원가

 

④ 설비수준활동(설비유지활동)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본적인 설비 유지를 위한 활동

예)공장관리활동, 건물관리활동, 안전유지활동

설비유지원가: 생산량, 묶음 수, 제품 종류에 비례하여 발생하지 않는 원가

임의의 배부기준을 사용하여 제품에 배부

 

3.3 활동원가과 원가동인

3.3.1 활동원가

활동별로 집계된 원가

3.3.2 원가동인

활동별로 집계된 원가인 활동원가를 제품에 배부할 때 사용되는 배부기준

 

3.4 자원원가와 자원동인

3.4.1 자원원가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서 소비된 자원의원가

3.4.2 자원동인

소비된 자원을 활동에 배부할때 사용되는 배부기준

 

3.5 활동기준원가계산의 개념

3.3 활동원가와 원가동인

3.4 자원원가와 자원동인

3.5 활동기준원가계산의 개념

 

=sum-up

1. 전통적 원가계산방법의 문제점

생산량과 관련된 제조간접원가는 생산량과 관련된 배부기준을 사용하고, 생산량과 무관한 제조간접원가는 생산량과 무관한 다른 배부기준을 사용하여야 하지만, 전통적 원가계산에서는 모든 제조간접에 대하여 생산량과 관련된 배부기준을 사용하고 있음

생산량과의 관련성을 무시하고 모든 제조간접원가에 대해 생산량과 관련된 배부기준을 사용하면, 제조간접원가의 배부의 정확도가 낮아지고, 원가계산의 정확도가 낮아짐. 따라서 정확한 의사결정을 하기 어려워짐

2. 활동기준원가계산의 도입배경

1) 소품종 대량생산 시스템에서 다품종 소량샌상 시스템으로 변화

2) 제조원가 중에서 제조간접원가의 비중이 커짐

3) 정보수집기술의 발달

3. 활동기준원가계산의 기본개념

1) 기본가정: 활동은 자원을 소비하고, 제품은 활동을 소비한다.

2) 활동수준의 구분

제품단위수준활동

묶음수준활동

제품수준활동(제품유지활동)

설비수준활동(설비유지활동)

3) 활동원가와 원가 동인

활동원가 : 활동별로 집계된 원가

원가동인: 활동별로 집계된 원가인 활동원가를 제품에 배부할때 사용되는 배부기준

4) 자원원가와 자원 동인

자원 원가: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서 소비된 자원의 원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