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터디스터디/원가관리회계

전통적인 원가계산의 문제점

최초 작성일: 25.07.28

최종 작성일: 25.07.28

 

1절 전통적인 원가계산과 활동기준원가계산의 비교

 

직접원가 = 직접재료원가 + 직접노무원가

총제조원가 / 단위당 원가

 

1.1 전통적인 원가배부기준을 사용한 제품원가계산

기계작업시간을 제조간접원가 배부기준으로 사용하여 단위당 제조원가 계산하시오

전통적인 원가배부기준 = 생산량과 관련된 한개의 배부기준

<1단계 제조간접원가 계산>

제조간접원가 배우율 = 제조간접원가/배부기준수 합계 = 50,000,000/3,125

<2단계 제품원가 계산>

oh 배부율 : 16,000 / 기계작업시간

 

1.2 활동기준원가계산을 사용한 제품원가계산

제조간접원가 발생액을 여러 활동에 배부해야함 (-> 활동에 대한 정보 및 활동별 원가 그리고 원가 동인 정보가 필요함)

제조간접원가를 활동별로 집계한후 배분

전통적인 원가계산과 비교하여 활동기준원가계산이 제품 A의 단위당 제조원가가 작음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원가는 생산준비횟수임. 전통적인 원가계산은 해당 건도 기계작업시간에 따라 배부하기 때문에 적게 배부됨 단일 원가 배부 -> 활동별 원가 배부


2절 전통적인 원가계산의 문제점

2.1 원가정보의 왜곡

  • 제조간접원가를 원가항목별로 원가동인이 다르게 파악된다고 가정할 경우 각각의 인과관계가 높은 원가동인을 이용하여 배부해야만 정확한 제품원가계산이 가능함
  • 전통적 원가 계산 : 모든 원가항목에 대하여 단일의 배부기준을 사용하기 때문에 원가정보에 왜곡이 발생함

2.2 가격의사결정의 왜곡

  • 원가를 기초로 가격설정을 하는 경우 가격의사결정이 왜곡될 수 있음

2.3 수익성을 기초로 한 성과평가 결과 왜곡

3절 전통적인 원가계산과 활동기준원가계산의 차이점

3.1 원가발생요인

  • 전통적 원가 계산 : 각 제품이 자원을 소비하므로 제품의 생산량에 비례하여 제조간접원가가 발생한다고 가정함
  • 활동기준원가계산 : 제품생산과 관련하여 발생되는 각종 활동이 자원을 소비하는 것으로 가정함 (자원 동인 -> 활동에 배부)

3.2 원가배부기준과 원가 배부기준의 수

  • 원가 배부 기준
    • 전통적 원가계산 : 직접노무원가, 직접노동시간, 기계시간 등과 같은 생산량(조업도)에 따라 원가를 배부
    • 활동기준원가계산 :주문횟수, 작업준비시간, 검사시간 등과 같은 원가동인 기준으로 배부함
  • 원가 배부 기준의 수
    • 전통적 원가계산 : 1개 또는 소수의 원가배부기준을 통해 제조간접원가를 배부함
    • 활동기준원가계산 : 다수의 원가배부기준을 통해 제조간접원가를 배부하므로 비교적 정확한 원가계산이 이루어짐

3.3 제조간접원가와 배부기준 사이의 인과관계 정도

  • 전통적 원가계산 : 제조간접원가의 세부항목이 매우 많고, 그 성격이 상당히 이질적임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배부기준을 이용하여 제품에 배부하기 때문에 제조간접원가와 배부기준 사이에 인과관계가 낮음
  • 활동기준원가계산 : 제조간접원가를 세분화하여 각각의 원가배부기준을 달리 적용함으로써 인과관계를 높일 수 있음

3.4 원가배부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는 비재무적 정보의 제공

  • 전통적 원가계산 : 소수의 비재무적 정보( 직접노동시간, 기계시간 등) 제공
  • 활동기준원가계산 : 다수의 비재무적 정보(주문횟수, 작업준비시간, 검사시간, 재료처리횟수, 운반횟수 등)를 제공

 

※ 효익과 비용을 비교하여 결정 ( 절대적으로 맞는 거는 없음)

 

=sum- up

 

1. 전통적인 원가계산과 활동기준원가계산의 차이점

(1) 원가발생 요인

전통적 원가계산 : 각 제품이 자원을 소비하므로 제품의 생산량에 비례하여 제조간접원가가 발생한다고 가정함

활동기준원가계산 : 제품생산과 관련하여 발생되는 각종활동이 자원을 소비시키는 것으로 가정함

(2) 원가배부 기준

전통적 원가계산 : 직접노무원가, 직접노동시간, 기계시간 등과 같은 생산량(조업도)에 따라 원가를 배부함

활동기준원가계산 : 주문횟수, 작업준비시간, 검사시간 등과 같은 원가동인을 기준으로 배부함

(3) 원가배부기준의 수

전통적 원가계산 : 1개 또는 소수의 원가배부기준을 통해 제조간접원가를 배부함

활동기준 원가계산 : 다수의 원가배부기준을 통해 제조간접원가를 배부하으모 비교적 정확한 원가계산이 이루어짐

(4) 제조간접원가와 배부기준 사이의 인과관계 정도

전통적 원가계산 : 제조간접원가의 세부항목이 매우많고, 그 성격이 상당히 이질적임에도 불구하고 배부기준을 이용하여 제품에 배부하기 떄문에 제조간접원가와 배부기준 사이에 인관관계가 낮음

활동기준 원가계산 : 제조간접원가를 세분화하여 각각의 원가배부기준을 달리 적용함으로써 인과관계를 높일 수 있음

(5) 원가배부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는 비재무적 정보의 제공

전통적 원가계산: 소수의 비재무적 정보(직접노동시간, 기계시간 등) 제공

활동기준원가계산: 다수의 비재무적 정보(주문횟수, 작업준비 시간, 검사시간, 재료처리횟수. 운반회수 등)을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