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 작성일: 25.07.10
최종 작성일: 25.07.10
1절 공손의 검사시점이 기말재공품의 완성도 보다 큰 경우 (기말 재공품이 당기 중에 품질 검사를 받지 않음)
1.1 사례
기초 재공품 50개
당기 착수 2,300개
=> 합계 2,800 개
당기 완성량 : 2,100 개
기말 재공품 : 400 개
결론은 2,800 - 2,500 = 300개 (공손품)
검사는 완성도 80% 시점에서 이루어짐
기초 재공품(30%) -> 당기 중 품질 검사 O
기말재공품(50%) -> 당기 중 품질 검사 X
정상공손원가과 비정상공손원가를 나눠서 할것
정상공손원가는 원가에 가산
비정상공손원가는 비용에 가산
정상공손 허용량 = 품질 합격수량의 10% (2,500 X 10% = 250개)
27,000 +18,000 = 45.000
1.2 물량흐름 분석
① 정상공손수량 = 2,100 X 10% = 210개
② 비정상공손 수량 = 전체 공손수량 - 정상공손수량 = 300 - 210 = 90개
③ 기초재공품만 당기 중에 검사시점을 통과하고, 기말재공품이 당기 중에 검사 시점을 통과하지 않은 경우 : 기말 재공품은 품질검사를 받지 않아 불합격품도 아니지만 정상품도 아님. → 당기 중에 발생한 정상공손원가는 모두 완성품(2,100개)에만 배부
1.3 선입선출법을 적용하는 경우 - 기초 재공품에 있는 완성도를 빼고 계산
기초 재공품 : 전기 (1) (0.3) 당기 (0) (0.7)
당기착수 (1) (1)
기말재공품 (1) (0.5)
정상공손수량 (1) (0.8)
비정상공손수량 (1) (0.8)
※ 공손에서 기초 재공품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당기 착수에서 발생한다 -> 정상공손과 비정상공손은 각각 (1) (0.8) 임
1.4 가중평균법을 적용하는 경우 - 기초 재공품이 당기에 착수한 것 처럼 간주하는 것이 선입선출법과의 차이점
기초 재공품 (1)(1)
당기 착수 (1)(1)
기말재공품 (1)(0.5)
정상공손(1)(0.8)
비정상공손(1)(0.8)
2절 공손의 검사시점이 기말재공품의 완성도 보다 작은 경우
(기말 재공품이 검사를 통과한것, 완성품과 기말재공품이 전부 정상품이다. 따라서 정상공손이 완성품과 기말재공품이 나눠서 반영해야함)
2.1 사례
2.2 물량흐름 분석
정상공손수량 : 500 + 1600 + 400 = 2,500개 X 10% = 250개
비정상공손수량 : 전체공손수량 - 정상공손수량 = 300개 - 250개 = 50개
기초재공품만 기말재공품이 모두 당기 중에 검사 시점을 통과한 경우 :
당기 중에 발생한 정상공손원가를 완성품(2,100개)과 기말재공품(400개)에 배부 (배부기준: 물량)
2.3 선입선출법을 적용하는 경우
기초 재공품 (1)(0.3)(0)(0.7)
당기착수 (1)(1)
기말재공품(1)(0.5)
정산공손(1) (0.4)
비정상공손(1) (0.4)
2.4 가중평균법을 적용하는 경우
기초 재공품 (1)(1)
당기착수 (1)(1)
기말재공품(1)(0.5)
정산공손(1)(0.4)
비정상공손(1)(0.4)
'스터디스터디 > 원가관리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활동기준원가계산의 절차 (0) | 2025.07.20 |
---|---|
활동기준원가계산의 기초개념 (2) | 2025.07.14 |
공손의 기초개념 (0) | 2025.07.06 |
연속된 제조공정에 대한 종합원가계산 (0) | 2025.06.30 |
종합원가계산의 물량흐름 (1) | 2025.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