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터디스터디/회계

자본(1)

최초 작성일: 2025-03-25

최종 작성일: 2025-03-25

 

1. 자본의 의의와 측정에 대한 이해

(1) 광의의 자본 : 기업이 사용가능한 모든 자원(=자산)

     협의의 자본(회계목적) : 자기 자본  = 순자산 = 주주지분 = 소유주지분 

B/S
자원 조달
자산 채권자 (타인 자본)
소유주 (자기 자본)

(2) 자본의 측정 : 자본은 자산과 부채와는 달리 직접적으로 측정하지 않는다.

자산 => 측정 부채 => 측정
  자본( 자산 - 부채)

사례) 기업 <-- 토지(FV 2억)-- 제3자

         기업 -- 주식  (FV2억) -->제3자

기업의 회계처리

토지 2억 / 자본금(대표적인 자본) 2억

유형자산의 취득원가는 원가로 측정한다 ( 원가 = 지급한 금액)

발행한 주식은 자본항목이기 때문에 지급한 금액으로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받은 금액으로 측정한다

자본은 측정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받은 금액을 기준으로 측정한다

자산 = 부채 + 자본(출자-증가, 배당-감소, 수익-증가, 비용-감소) 

수익과 비용이 I/S

수익과 비용에 해당하는 항목은 자본을 변동시킴 ( => 따라서 수익과 비용은 직접 측정이 불가능함 => 직접 측정 대상이 아)

 

2. 자본에 대한 분류에 대한 이해

자산
재고
유형/무형 자산
금융 자산
투자 부동산
부채
확정부채
추정부채
자본
-법률적 관점(우리나라의 경우, 상법 / 기업법)
1) 법정자본금 : 주식회사가 유지해야할 최소금액
2) 준비금 : 잉여금 ( 다양한 목적으로 처분 가능함)
-경제적 관점
1) 납입자본금 : 주주의 출자로 인한 자본금  
2) 유보자본금 : 경영 성과에 따른 자본금(수익)
*R/E :이익잉여금 - 유보 이익 상당액(배당하지 않고 사내에 유보되어 있는 이익 상당액)
*순자산=자본 증가/감소 -> 자본 변동
수익 또는 비용으로 처리
제외되는 사항이 자본거래를 통한 변동임
 

 

cf. 일반기업 회계 기준 

-자본거래

1) 자본금 : 법적 자본금 ( 상법상 반드시 자본금으로 표시해야하는 금액,  액면금액*발행주식수)

2) 자본잉여금 : 자본거래를 통한 이익 상당액의 누적액 (주식발행초과금 - 액면가보다 높은 금액으로 팔린경우)

3) 자본 조정 : 법적 자본금, 자본잉여금이 아닌 모든 항목 ( 자본거래손실, 주식대금 선수-신주 청약 시 증거금, 자기주식)

-손익거래

4) 이익 잉여금 (R/E) < - NI

5)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OC(미실현 손익)

*k-ifrs는 자본을 자본금, 자본 잉여금, 자본조정, 이익잉여금, 기타포괄손익누계액으로 분류하고 있다

=용어=

자본의 정의와 측정: 자본은 자산에세 부채를 차감한 잔여금액으로 정의하며 측정

납입자본: 주주로부터 납입받은 주식대금 및 주식대금과 동일한 성격의 금액

유보이익: 당기순이익 중 배당을 하지 않고 사내에 유보된 이익잉여금

=기업이 주식을 발행하는 증자의 방법=

기업이 증자를 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대표적인 것이 유상증자인데 투자자들한테 일정한 돈을 받고 신주를 발행해 나눠주는 것이다. 유상증자는 다시 주주배정 증자, 일반공모 증자, 제3자 배정 증자 등 세 가지로 나뉜다. 또 다른 방법으로 무상증자가 있는데, 말 그대로 돈을 받지 말고 무상으로 신주를 나눠주는 것이다. 자본조달 목적이라기보다는 사내유보자금이 자본금 대비 너무 많거나 주식수가 지나치게 적을 경우 흔히 무상증자를 한다.

=요약=

자본의 의의와 측정에 대한 이해

-회계에서 자본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협의의 자본으로서 소유주로부터 조달된 자본만을 의미함

-회계에서 자본은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잔여금액으로 정의되며, 자기자본, 소유주 청구권, 주주지분, 잔여지분 및 순자산 등으로 표현됨

-자본은 자산과 부채와는 달리 직접적으로 측정하지 않으며, 자산측정액과 부채측정액에 의존하여 간접적으로 측정됨

자본에 대한 분류에 대한 이해

-자본은 법률적 관점에 따라 분류한다면 법적 자본금과 준비금으로 분류할 수 있음

-자본을 경제적인 관점에 따라 구분하면 납입자본과 유보이익으로 구분할 수 있음

-K-IFRS는 자본의 분류에 대해 구체적으로 규정하지 않고, 크게 납입 자본과 이익잉여금 및 기타 자본요소로 분류하고 있음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일반기업회계기준을 준용하여 자본을 자본금, 자본 잉여금, 자본조정, 이익잉여금 및 기타포괄손익으로 분류함

'스터디스터디 >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P]자본(2)  (0) 2025.03.25
투자 부동산(1)  (0) 2025.03.24
[WIP]금융자산(2)  (0) 2025.03.17
금융자산(1)  (1) 2025.03.13
부채(4)  (0) 2025.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