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 작성일: 25-06-23
최종 작성일: 25-06-23
1절 각 사업연도 소득에 대한 법인세의 계산구조
1.1 1단계: 각 사업연도 소득의 계산
1.2 2단계 : 과세표준의 계산
1.3 3단계 : 산출세액의 계산
과세표준 X 세율 = 산출세액
2억원 이하분 : 9%
2억원 초과 200억원 이하분 : 19%
200억원 초과 3,000억 원 이하분 : 21%
3,000억원 초과분 : 24%
1.4 4단계 : 차감납부할 세액의 계산 - 법인세 과세표준 및 세액조정 계산서
2절 이월결손금의 공제
2.1 과세표준 계산시 이월결손금 공제
각 사업연도 소득금액
(이월결손금)
(비과세소득)
(소득공제)
=====
과세표준 -> 이월결손금, 비과세소득, 소득공제를 차례로 공제
2.2 결손금의 이월공제 기간
- 2008년 12월 31일 이전에 개시한 사업연도에 발생한 결손금 : 5년간 이월공제
- 2009년 1월 1일 이후 2019년 12월 31일 이전에 개시한 사업연도에 발생한 결손금 : 10년간 이월공제
- 2020년 1월 1일 이후 개시한 사업연도에 발생한 결손금 : 15년간 이월공제
2.3 이월결손금의 공제한도
- 내국법인
-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른 중소기업과 회생계획을 이행 중인 기업 등 : 각 사업연도 소득금액의 100%
- 나머지 내국법인 : 각 사업연도 소득금액의 80%
- 국내사업장을 가진 외국법인과 국내원천 부동산소득이 있는 외국 법인
- 각 사업연도 소득금액의 80%
2.4 공제순서
먼저 발생한 사업연도의 결손금 부터 순차적으로 공제 진행
3절 주요 신고서식
- 법인세 과세표준 및 세액조정 계산서
- 자본금과 적립금 조정명세서(갑)
- 소득자료 명세서
3.1 소득금액조정합계표 ( 익금산입 및 손금 불산입, 손금산입 및 익금 불산입)- 해당 사업연도의 신고조정사항을 집계하는 서식으로 신고조정항목별로 금액 및 소득처분 내용을 표시함
3.2.1 기능
해당 사업연도 소득금액의 계산을 위한 자료의 제공
-> 익금 산입, 손금 불산입 항목의 합계와 손금산입 익금 불산입 항목의 합계를 '법인세 과세표준 및 세액조정계산서'로 보냄
유보소득 계산을 위한 자료의 제공
-> 유보 (△유보)로 처분된 항목에 대하여 해당 사업연도 중 증감 내용에 관한 자료를 '자본금과 적립금 조정명세서(을'로 보냄
원천징수 및 소득세 과세자료의 제공
-> 사외유출로 처분된 사항 중 배당, 상여, 기타소득으로 처분된 사항을 '소득자료명세서'로 보냄
3.3 법인세 과세표준 및 세액조정계산서
'소득금액조정합계표'에서 보내진 자료를 기초로 해당 사업연도의 소득금액 및 과세표준과 세액을 계산하는 서식
3.4 자본금과 적립금 조정명세서(을)
- 유보잔액을 계산하기 위한 서식으로 유보사항의 기초잔액에 '소득금액조정합계표'상의 유보로 처분된 항목을 가감하여 유보사항의 기말잔액을 계산함
- 기초잔액, 당기 중 증감, 기말잔액의 합계를 자본금과 적립금 조정명세서(갑)로 보냄
※ 자본금과 적립금 조정명세서(갑)도 존재하며 갑과 을은 완전 다른 서식임
3.5 자본금과 적립금 조정명세서(갑) -> 세법상의 순자산 계산
세법상 자기자본총액(순자산)을 계산하기 위한 서식
-> 결산서상 자기자본에 '자본금과 적립금 조정명세서(을)'에서 계산한 유보소득의 합계액을 더하고 손익미계상 법인세 등을 차감하여 세법상 자기자본을 계산함
3.6 소득자료명세서
- 사외유출로 처분된 사항 중 배당, 상여, 기타소득으로 처분된 사항에 대하여 원천징수를 하였다는 것과 거래상대방이 누구라는 것을 관할세무서장에게 통지
-> 관할세무서장이 해당 거래상대방에 대한 과세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
=sum-up
1. 각 사업연도 소득에 대한 법인세 계산구조
1) 1단계 : 각 사업연도 소득의 계산
2) 2단계 : 과세 표준의 계산
3) 3단계 : 산출세액의 계산
4) 4단계 : 차가감납부할 세액의 계산
2. 이월결손금의 공제
1) 결손금의 공제
2008년 12월 31일 이전에 개신한 사업연도에 발생한 결손금 : 5년간
2009년 1월 1일 이후에 2019년 12월 31일 이전에 개시한 사업연도에 발생한 결손금 : 10년간 이월공제
2020년 1월 1일 이후 개시한 사업연도에 발생한 결손금 : 15년간 이월공제
2)이월결손금 공제한도
(1)내국법인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른 중소기업과 회생계획을 이행 중인 기업등 : 각 사업연도 소득금액의 100%
나머지 내국법인 : 각 사업연도 소득금액의 60%
국내사업장을 가진 외국법인과 국내원천 부동산 소득이 있는 외국 법인 : 각 사업연도 소득금액의 60%
3. 주요 신고서식
1) 소득금액 조정합계표 : 해당 사업연도의 신고조정사항을 집계하는 서식
2) 법인과세표준 및 세액조정 계산서 : 해당 사업연도의 소득금액 및 과세표준과 세액을 계산하는 서식
3) 자본금과 적립금 조정명세서(을) : 유보잔액을 계산하기 위한 서식
4) 자본금과 적립금 조정명세서(갑) : 세법 상 자기자본총액을 계산하기 위한 서식
5) 소득자료명세서 : 사외유출로 처분된 사항 중 배당, 상여, 기타소득으로 처분된 사항에 대하여 원천징수를 하였다는 것과 누구라는 것을 관할세무서장에게 통지함으로써 관할세무서장이 해당 거래상대방에 대한 과세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서식
'스터디스터디 > 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요 익금 사항(2) (0) | 2025.07.08 |
---|---|
주요 익금사항(1/2) (1) | 2025.07.02 |
소득처분 - sumup으로 복습 필요 (0) | 2025.06.20 |
세무조정 (1) | 2025.06.19 |
법인세 총설 (4) | 2025.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