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 작성일 : 25.08.05
최종 작성일 : 25.08.11
2. General Ledger Accounts
2-1 Chart of Accounts (CoA)
회사에서 사용할 계정과목(계정 코드 , g/l account)의 모음으로 계정 과목집, 계정코드 집임
하나의 sap 시스템 내에서는 여러개의 coa를 생성 할 수 있으며 이러한 coa를 operating coa라고 함
blocked 필드를 이용하여 coa 사용중지 상태로 만들 수 있음
하나의 company code는 반드시 하나의 coa 를 사용해야함 (동시에 두개의 coa 사용 불가)
여러개의 company code가 하나의 동일한 coa 사용 가능 (동일회사 혹은 동일 그룹인 경우에는 동일한 하나의 coa를 사용해야만 전체 회사 공통의 재무제표 생성 용이)
※conversion routine : 계정 코드가 기본적으로 10자리 인데 6~8자리로 생성한경우 자동으로 앞에 0이 채워지는 것
2-2 Group Chart of Accounts
서로 다른 coa를 사용하는 회사 혹은 회사군(company group)에 대하여 각각 회사마다 서로 다른 coa 를 사용할 경우, 각 계정 코드마다 동일한 group account를 연결하여 그룹 공통의 재무재표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그룹 계정과목집임
이러한 전체 그룹의 레포트는 대외적인 목적보다는 주로 내부 관리 목적으로 사용
group coa가 활성화 되면 group account number(그룹계정코드)가 필수 필드가 되어 g/l 계정코드 생성시에 반드시 group account number를 입력해야함
BSEG 테이블에서 group account number 코드 값 관리 함
( 이 코드 값을 기준으로 하여 여러 company code의 서로 다른 계정별 금액을 하나의 group 계정코드로 취합/집계 가능)
-> 추가로 효과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그룹계정코드를 위한 재무제표버전을 사용해야함
2-3 Country Chart of Accounts -> 이건 좀 해보기
Country-specific CoA
Alternative CoA
각 국가별 특별한 regulation 목적의 재무제표나 세무 레포트 작성을 위해서는 국가별로 고유으의 계정코드를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country-specific CoA 라는 계정과목집을 활용함
group coa는 주로 내부적인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지만, country-specific coa는 특정국가별 요구되는 법적인 요건을 위한 대외 레포트로 사용될 수 있음
예를 들어 g/l account 생성 시에 alternative account no 상 country coa zhemrkqtdmf dlqfurgkdu rnrrkquffh
(국가별로 country coa 코드값 입력 가능 / 계정코드 별로 alternative account no 입력 가능/ CoA를 Company code에 어싸인 하는 설정을 통해 관리 가능 -> 이렇게 설정하면 line item이 저장되는 bseg 테이블에 아래와 같이 alternative 계정코드가 저장되어, 각종 레포트나 financial statement 레포트 등을 통해서 사용 가능)
※ 하나의 계정 코드에 3개의 (operating, group, country)의 CoA를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음 / 일반적으로 CoA 라고 하는 operating coa는 반드시 사용해야만 하는 필수 계정코드 이며, group coa와 country coa는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수 있음. 하지만, 계정코드 생성시에 한번만 설정해 놓으면 전표를 생성할 때 자동으로 각각 3가지 종류의 계정코드가 저장되어 각종 레포팅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최근에는 사용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음)
2-4 계정코드의 Sement 별 정보
하나의 계정코드(account number)에는 여러 종류의 계정코드와 관련된 정보가 저장
관련된 정보에는 1) chart of account segment 2) company code segment 가 있음
1) chart of account segment : 계정코드 공통의 정보를 담아둠
예시) type/description, key word, information
2) company code segment : company code별로 서로 다른 정보를 담아둠
예시) company code, control data, bank/interest/information
3) centrally : chart of account segment + company code segment
※ chart of account 수정 티 코드에서 'time dependent attrigutes' 버튼 기능을 통해 gl account에 대한 이력 관리 가능
2-5 계정코드의 Account Group의 역할 및 특성
G/L Account Number 생성 시 account group 입력 필요
account group의 역할은 1) account number의 NR 통제 2) company code segment의 필드 통제(field status group)
일반적으로 계정 그룹은 자산, 채무, 비용, 수익 등 계정 특성별로 구분하여 관리
각 타입별로 계정코드 번호를 제한하여 통제 가능
또한 계정 그룹별로 필드를 통제하여 화면에 보이지 않게 하거나 조회, 필수입력 필드 혹은 선택 필드를 설정하여 각 회사별로 필드를 보이지 않게 하고, 꼭 필요한 필드만 관리할 수 있게 함
※ 계정코드의 필드 통제는 계정그룹으로도 할 수 있지만 계정코드 생성/조회/변경 등의 트랜잭션 코드로도 통제 가능하므로 두 군데 모두에서 통제 가능함. 하지만, 트랜잭션 코드 별로는 보통 all로 처리하고, 계정그룹으로만 화면필드 상태를 조정하는 것이 편리함
2-6 계정코드의 B/S, P/L 특성 및 이익잉여금 계정 설정 -> 이건 좀 더 공부해보기
계정코드는 각각마다 b/s(대차대조 계정)을 가진 계정인지 P&L (손익계정)을 가진 계정인지 먼저 석정
-연말에 연말결산 작업의 일환으로 balance carrry-forward (잔액 이월) 작업 수행시,
>b/s 특성을 가진 계정은 계정잔액금액을 금액 그대로 차년도로 이월하고 (해당 잔액을 그대로 차기년도로 이월)
>P&L (손익계정)의 계정은 해당 계정으로 이월하지 않고, 이익잉여금 계정으로 설정된 계정에 손익계정을 전체 합한 잉여금 계정만을 이월함(이익잉여금 계정으로 P/L 계정들이 Summary 된 금액이 이월됨)
※S/4 HANA 에서는 G/L account type을 통해서 b/s account, fi에서만 사용하는 영업외 수익 비용, fi+co에서 사용하는 p/l 코드, co에서만 사용하는 2차 원가 요소 코드가 있음( 2차 원가 배부 느낌)
2-7 계정코드의 Company Code 세그먼트 필드 들 -> 확인 필요
1) Account Currency : 해당 계정코드가 가지는 통화를 설정하는 필드
(이 계정으로 전표 입력 시 여기에 지정된 통화이외에 다른 통화를 입력할 경우에는 전표입력이 되지 않음, 그래서 보통 빈칸으로 도거나 local로 입력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외화통화도 입력 가능하도록 함)
'only balances in local crcy' 필드에 체크를 하고 계정코드를 저장 -> 이 계정코드로 전표를 입력하면 반드시 local currency로만 금액이 저장됨 -> 일반적으로 cash discount clearing 계정이나 GR/IR 계정에 주고 하용하며,
vendor master나 customer master의 reconcilation 계정(조정계정)에서는 이 필드에 체크 하지 않음
>> 이 필드에 체크를 하면, 이계정으로 발생하는 open item 들은 local 통화가 아닌 외화로 전표가 들어오더라도 외화로 금액이 저장되지 않고 local 통화 기준으로 금액이 저장되며, 추후 반제(clearing) 전표가 발생하더라고 local 통화의 금액기준으로 반제처리가 이루어짐
▶ Public Cloud 기준
경로 : manage G/L Account Master Data > CoA, G/L Account, Company Code 선택 > Account Currency 수정
※ Company code view의 G/L Account Group 상 local currency 수정하는 경로 확인 필요
▶ PCE 기준 (S4 HANA)
2) tax category
이 계정코드가 어떤 타입의 세금코드가 입력이 가능한지, 혹은 어떤 타입의 세금계정 코드인지 등을 설정
구분 | 설명 |
* | 매입, 매출 모두 가능 |
- | 매입부가세 |
+ | 매출부가세 |
< | 이 계정코드 자체가 매입부가세 계정코드 |
> | 이 계정코드 자체가 매출부가세 계정코드 |
※일반적인 회사에서는 전체 계정코드 중에서 매입부가세 와 매출부가세인 '<', ">" 는 각각 1개씩의 계정코드만 설정하여 사용하나, 특수한 경우에는 여러 개씩 세금코드로 하여 관리할 수 있음
▶SAP PCE - S4HANA
T-CODE : FS00
G/L ACCOUNT - Company code별로 tax code 지정
▶ Public Cloud 기준
경로 : manage G/L Account Master Data > CoA, G/L Account, Company Code 선택 > Tax Category 수정
3) Recon. account for acct type : 이 계정코드가 Vendor Master나 Customer Master 혹은 Asset Master의 Reconcilation 계정인지 설정하는 필드. Reconciliation 계정코드는 General Ledger와 Sub Ledger 간의 integration을 하여 만들어진 계정코드 이며, 여기에 Reconciliation 계정으로 설정이 된 경우에는 직접 이 계정으로 전표생성을 할 수 없으며, 반드시 Vendor, Customer, Asset 등의 값으로 전표를 생성하게됨.
3) Alternative Account No.
4) Open Item Management : 미결계정(open item)으로 관리할 것인지 결정하는 필드. 미결계정은 반드시 반제(clearing)처리가 필요한 계쩡이라는 의미임. 일반적으로 Vendor 나 Customer 등의 Recon계정은 여기에 체크하지 않고 자동으로 미결계정으로 시스템이 인식함. 일반적으로 Bank, 세금, 자재(raw material), Recon, profit & loss 계정등은 Open 계정으로 설정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Open 계정으로 인식함
5) Line Item Display : 계정의 Period별 잔액 조회 등의 레포트에서 해당 계쩡과 Period과 차/대변을 클릭하면 상세한 각각의 라인항목 까지를 조회할 수 있는 지/ 없는 지를 결정하는 설정 필요 -> 이거 확인 안됨
6) Sort Key : 전표의 assignment 필드 값에 어떤 값이 들어올 것인지를 결정하는 설정조건. 이 assignment 필드가 Line Item Display화면에서 제일 좌측에 보여짐으로써 전표의 라인항목이 나타나는 순서를 결정
7) Field Status Group : 이 계정코드로 전표를 입력할 때 나타나는 전표입력 필드의 화면 설명
8) Post Automatically Only : 이 계정코드가 타모듈 혹은 계정결정 테이블(account determination table)에 의하여 자동으로만 생성되는 계정인지 결정하는 설정
9) Supplement auto.Postings : 자동으로 생성되는 전표라고 할지라도 이 필드에 체크를 하게 되면 수작업으로 전표(보중)를 입력 할 수도 있는 계정이라는 의미
'SAP셀프스터디 > 10일 만에 알게쉽게 정리한 FI 1회독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알기쉽게 정리한 SAP FI S/4 HANA(개정판) - Fiscal Year and Posting (1) | 2025.08.13 |
---|---|
[책] 알기쉽게 정리한 SAP FI S/4 HANA(개정판) - Currency and Exchange Rates (3) | 2025.08.13 |
WIP-[책] 알기쉽게 정리한 SAP FI S/4 HANA(개정판) - Document (0) | 2025.08.12 |
WIP-[책] 알기쉽게 정리한 SAP FI S/4 HANA(개정판) - Customer / Vendor Accounts (2) | 2025.08.11 |
[책] 알기쉽게 정리한 SAP FI S/4 HANA(개정판) - Organizational Structures (3) | 2025.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