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터디스터디/원가관리회계

CVP분석의 기본가정과 기초개념

최초 작성일 : 25.08.14

최종 작성일:  25.08.17

 

1절 CVP 분석의 의의 

1.1 원가-조업도-이익 분석 (CVP 분석 : Cost - Volume - Profit Analysis)

      • 조업도(생산량이나 판매량)의 변화가 수익, 원가, 이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기업의 단기적 의사결정에 이용하는 기법\
      • p : 단위당 판매 가격 , X : 판매량,  a : 고정원가, b : 단위당 변동원가
      • 원가는 비용임 / 조업도가 변하면 원가가 변하지만 고정원가 변화에는 영향이 없음 / 

고정원가 : 고정/ 변동원가 : 변동

 

1.2 CVP 분석의 활용

  • 제품의 판매가격, 조업도(생상량 또는 판매량), 단위당 변동원가, 총고정원가 등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주로 이용됨

①손익 분기점 달성을 위한 판매량 또는 매출액은 얼마인가

②목표영업이익을 달성하기 위한 판매량 또는 매출액은 얼마인가

③매출액의 변화가 영업이익의 변화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

 

1.3 CVP 분석의 원가개념

  • 제조원가 뿐만 아니라 판매비와 관리비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
    • 매출액 - 매출원가(제품이 팔린것, 제조원가) - 판관비(비제조원가) = 영업이익
    • CVP 분석은 영업이익을 분석하는 것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원가는 매출원가와 판관리를 포함한 광범위한 개념임

2절 CVP 분석의 기본가정

2.1 기본 가정

  • 수익과 원가를 변화시키는 수익동인과 원가 동인은 제품의 생산량과 판매량(조업도)에 의해서만 발생한다고 가정  →단일 동인(single driver)모형
  • 재고자산의 수준이 변동하지 않는다고 사정 -> 당기 생산량이 모두 판매되어 당기 판매량이 일치한다고 가정 (기초와 기말 재고량 동일)
  •  모든 원가를 고정원가와 변동원가로 명확히 구분할 수 있다고 가정
  • 고정원가는 관련 범위 내에서 조업도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하다고 가정
  • 총 변동 원가는 조업도와 선형관계에 있다고 가정   관련범위 내에서 생산량 또는 판매량에 비례하여 변동원가가 변화한다고 가정
  • 제품의 단위당 판매가격은 판매량의 증가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다고 가정
  • 단위당 판매가격, 단위당 변동원가, 고정원가는 이미 알려져 있다고 가정
  • 기업이 다수의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경우에도 제품의 매출 배합이 일정하다고 가정 
  • 모든 수익과 원가에 대해 화폐의 시간 가치를 고려하지 않음 ( CVP 분석 자체가 단기간 의사결정을 위한 것임 따라서 화폐의 시간가치는 고려하지 않음)
    • TR( Total Revenue) = pX / p = 단위당 판매 가격 / X = 총생산량
    • TC (Total Cost )= a + bX / a = 고정원가 총액 / b = 단위당 원가 / X = 총생산량 

3절 CVP분석의 기초개념(1)

3.1 개요

    • 총원가 = 고정원가 +변동원가 = a + bX
    • 매출액 - 변동원가 - 고정원가 = 세전영업이익(법인세 차감전)
      공헌이익 = 매출액 - 변동원가
      공헌이익 - 고정원가 = 세전영업이익

(p-b) = 단위당 공헌이익

  • 변동비율 = 변동원가 / 매출액 = bX = pX = b/p 
    매출액 * 변동비율 = 변동원가
  • 공헌이익률 =  공헌이익 / 매출액 = (p-b)X / pX = (p-b)/p
    매출액 * 공헌이익률 = 공헌이익
  • 변동비율 + 공헌이익률 = 1
공헌이익 매출액 - 변동원가
고정원가 + 세전영업이익
단위당 공헌이익 x 판매량
공헌이익률 x 매출액 
판매량 공헌이익 / 단위당 공헌이익
고정원가 + 세전영엽이익 / 단위당 공헌이익
매출액 공헌이익/ 공헌이익률
고정원가 + 세전영역이익 / 공헌이익률
세후영업이익  세전영업이익 x (1 - 법인세율)

세전영업이익 세후영업이익 / (1-법인세율)

 

3,2 기초개념

▶총수익(TR ; Total Revenue)

총수익(매출액) = 단위당 판매가격(p) x 판매량 (X)

 

▶총비용(TC : Total Cost)

총비용(총원가) = 변동원가 + 고정원가

                       = 단위당 변동원가(b) X 판매량(X)  + 고정원가(a)

ⓘ단위당 변동원가 = 단위당 변동제조원가 + 단위당 변동판매관리비☆
* 단위당 변동제조원가 = 단위당 직접재료원가+단위당 직접노무원가+단위당 변동제조간접원가

②고정원가 = 고정제조간접원가 총액 + 고정판매관리비 총액

 

▶총공헌이익(TCM : Total Contribution Margin)
(총) 공헌이익 

= 매출액 - 변동원가

- 단위당 판매가격 X 판매량 - 단위당 변동원가 X 판매량

= (단위당 판매가격 - 단위당 변동원가) X 판매량

= 단위당공헌이익 X 판매량

= 고정원가 + 세전영업이익

= 공헌이익률 X 매출액

▶ 단위당공헌이익 (UCM)

  • 단위당 공헌이익 = 단위당 판매가격 - 단위당 변동원가
  • 제품 1단위를 추가로 판매할 경우 이익의 증가분을 의미
  • 판매판 제품 1단위가 고정원가를 회수하고 이익을 창출하는데 얼마나 공헌하는 가를 의미함 

▶공헌이익률 (CMR)

▶변동비율

▶영업이익(OI : Operating Income)

[세전영업이익]

>>총수익 - 총원가

>>매출액 - 변동원가 - 고정원가

>>공헌이익 - 고정원가

>>단위당 공헌이익 x 판매량 - 고정원가

>>공헌이익률 x 매출액 - 고정원가

[세후영업이익]

>>세전영업이익 - 법인세비용

>>세전영업이익 - 세전영억아악 *법인세율

>>세전영엉이익 x (1- 법인세율)

>>세전영업이익 = 세후영업이익 / (1- 법인세율)

공헌이익 손익계산서 (변동원가 손익계산서)

 

단위당 공헌이익 = 단위당 판매가격 - 단위당 변동원가

제품 1단위를 추가로 판매할 경우 이익의 증가분을 의미

판매한 제품 1단위가 고정원가를 회수하고 이익을 창출하는 데 얼마나 공헌하는 가를 의미

손익분기점에서는 공헌이익 = 고정원

 

=sum-up

1. CVP 분석의 의의

(1) 원가 - 조업도 - 이익 분석 (CVP 분석 : cost-volume-profit analysis)

조업도(생산량이나 판매량)의 변화가 수익, 원가, 이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기업의 단기적 의사결정에 이용하는 기법

(2) CVP 분석의 활용

제품의 판매가격, 조업도(생산량 또는 판매량), 단위당 변동원가, 총고정원가 등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주로 이용됨

①손익분기점 달성을 위한 판매량 또는 매출액은 얼마인가?

②목표영업이익을 달성하기 위한 판매량 또는 매출액은 얼마인가

③매출액의 변화가 영업이익의 변화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

(3) CVP 분석의 원가개념

제조원가 뿐만 아니라 판매비와 관리비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

2. CVP 분석의 기본가정

(1) 수익과 원가를 변화시키는 수익동인과 원가동인은 제품의 생산량과판매량(조업도)에 의해서만 발생한다는 가정

(2) 모든 원가를 고정원가와 변동원가로 명확히 구분할수 있다고 가정

(3) 고정원가는 관련 범위내에서 조업도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하다고 가정

(4) 총변동원가는 조업도와 선형관계에 있다고 가정

(5) 제품의 단위당 판매가격은 판매량의 증가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다고 가정

(6) 단위당 판매가격, 단위당변동원가, 고정원가는 이미 알려져 있다고 가정

(7) 재고자산의 수준이 변동하지 않는다고 가정( 즉, 생산량 = 판매량)

(8) 기업이 다수의 제품을 생산, 판매한늑 경우에도 제품의 매출배합이 일정하다고 가정

(9) 모든 수익과원가에 대해 화폐의 시간가치를 고려하지 않    

'스터디스터디 > 원가관리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가함수 추정방법과 학습곡선  (3) 2025.08.11
원가의 행태와 원가추정  (4) 2025.08.08
결합원가의 배부(2)  (0) 2025.08.07
결합원가의 배부(1)  (3) 2025.08.03
결합원가계산의 기초개념  (0) 2025.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