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터디스터디/원가관리회계

기본가정 하의 CVP 분석(2)

최초 작성일: 25.08.26

최종 작성일: 25.08.26

 

안전한계란 손익분기점 판매량을 초과하는 실제 판매량을 의미하며, 손실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허용할수 있는 판매량의 최대 감소폭이다

영업레버리지효과는 전체 원가 중 고정원가가 차지하는 비중이 클수록 매출액 변화율보다 영업이익 변화율이 더 크게 증가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1절 목표영업이익분석

1.1 (세전) 목표영업이익 달성 판매량

세전영업이익= 단위당 공헌이익 x 판매량 - 고정원가 
 ↓ (세전영업이익에 세전목표이익 대입)
세전목표영업이익 = 단위당 공헌이익 x 판매량 - 고정원가 
세전목표영업이익 판매량 = 세전목표영업이익 + 고정원가 / 단위당 공헌이익

 

1.2 (세전) 목표영업이익 달성 매출액

세전영업이익= 공헌이익률 X 매출액 - 고정원가 
 ↓ (세전영업이익에 세전목표이익 대입)
세전목표영업이익 = 공헌이익률 X 매출액 - 고정원가 
세전목표영업이익 매출액= 세전목표영업이익 + 고정원가/ 공헌이익률  

※ 세전목표영업이익 매출액 = 세전 목표영업이익 판매량 X 단위당 판매가격

 

(20,000 - 12,000) X 판매량 - 400,000

단위당 공헌이익 = 20,000 -12,000 = 8,000

단위당 공헌이익 X 판매량 - 고정원가

8000X - 400,000 = 560,000

X(판매량) = 960,000 / 8000 = 120

 

세전목표영업이익 달성을 위한 매출액

공헌이익률= 단위당 공헌이익 / 단위당 판매가격

8,000 / 12,000 = 0.4 

공헌이익률 X 매출액 - 고정원가 

0.4 X -400,000 = 560,000

X = 960,000/ 0.4

X(매출액) = 2,400,000

 

2절 안전한계

2.1 안전한계란?

  • 손익분기점 판매량(매출액)을 초과하는 실제 판매량(매출액)
  • 손실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허용할 수 있는 판매량(매출액)의 최대 감소폭

2.2 안전한계판매량 및 매출액

 

▷안전한계 판매량

  • 실제 판매량이 손익분기점 판매량을초과하는 수량
  • 안전한계 판매량 = 실제판매량 - 손익분기점 판매량

 

▷안전한계 매출액

  • 실제 매출액이 손익분기점 매출액을 초과하는 금액
  • 안전한계 매출액 = 실제매출액 - 손익분기점 매출액

 

2.3 안전한계율(안전한계비율)

현상황에서 손실이 발생할때 까지 허용할 수 있는 판매량(매출액)의 최대감소비율

안전한계율 = 안전한계판매량 / 실제판매량 = 실제판매량 - 손익분기점 판매량 / 실제 판매량

                  = 안전한계 매출액 / 실제 매출액 = 실제 매출액 - 손익분기점 매출액 / 실제 매출액

                  = 영업이익 / 공헌이익 = 1/ 영업레버리지도

안전한계율 X 영업레버리지도 = 1

안전한계율 X 공헌이익률 = 안전한계 매출액 / 실제매출액 X 공헌이익률

                                       = 영업이익 / 실제 매출액 = 매출액순이익률

   

공헌이익 = 10-6 = 4

공헌이익률 = 4/10 = 0.4

BEP = 4*판매량 - 200,000

200,000 /4 = BEP 판매량 = 50,000

 

안전한계 판매량 = 80,000 - 50,000 = 30,000

안전한계 매출액 = 80,000X 10 - 50,000X 10 = 300,000

안전한계율 = 안전한계 판매량 / 실제 판매량 = 30,000 / 80,000  = 0.375

                 =안전한계 매출액 / 실제 매출액 = 300,000 / 800,000  = 0.375

 

3절 영업레버리지 분석

3.1 원가구조 및 영업레버리지 ( 영업레버리지 효과)

▶원가구조

  • 기업의 전체 원가에서 고정원가변동원가가 차지하는 상대적인 비율

▶ 영업레버리지(영업레버리지효과) ★

  • 전체원가 중 고정원가가 차지하는 비중이 클수록 매출액 변화율보다 영업이익 변화율이 더 크게 증가하는 현상
  • 영업레버리지도(DOL) : 영업레버리지의 크기

3.2 영업레버리지도( DOL : degree of operating leverage)

  • DOL = 영업이익의변화율 / 매출액 변화율 = 공헌이익/영업이익 = 1/ 안전한계율
            = 실제 판매량 / 안전한계 판매량 = 실제 매출액 / 안전한계 매출액 
    • 영업이익/공헌이익 = 안전한계율
  • 영업이익 변화율 =  매출액 변환율 x 영업레버리지도(DOL) 
  • 고정원가 증가 -> DOL 증가 -> 동일한 비율로 매출액이 변화할 경우 영업이익의 변화율을 더확대됨 -> 호황일 경우에는 더 큰 이익이 발생하고 , 불황일 경우에는 더 큰 손실이 발생함
항목 단위당 금액(A) 판매량(B) 상황1 상황2 상황3
총액(C) = (A) X (B) 총액(C) = (A) X (B) 총액(C) = (A) X (B)
총 수익 20,000 120 2,400,000 2,400,000 2,400,000
변동 원가 12,000 120 1,440,000 1,440,000 1,440,000
공헌이익 ①/     960,000 960,000 960,000
고정원가     400,000 600,000 800,000
영업이익 ②     560,000 360,000 160,000
영업레버리지도
③ = ①/ ②
    1.71 2.67 6.00

 

전체 워가 중 고정원가의 비율을 높으면 높을 수록 매출액 변화시 영업이익의 변화율이 더 확대됨

 

  120단위 판매 시   180단위 판매 시
매출액 120 X 20,000 = 2,400,000 180 X 20,000 =3,600,000 50% 증가
(-) 변동원가 120 X 12,000 = (1,440,000) 180 x 12,000 = (2,160,000)
공헌이익 8000 X 120 = 960,000 1,440,000
(-) 고정원가 (400,000) (400,000)
영업이익 560,000 1,040,000 85.71% 증가

 

DOL = 영업이익 변화율 / 매출액 변화율 = 960,000 / 560,000 = 1.71

영업이익 변화율 = 매출액 변화율 X DOL = 50% X 1.71 = 85.714

변화 후영업이익 = 변화전 영업이익 X ( 1 + 영업이익 변화율)

                        = 변화 전 영업이익 X ( 1+ 매출액 변화율 X 영업레버리지도)

                        = 560,000 X ( 1+ 0.857) = 1,040,000  

 

=Sum - Up

 

1. 목표영업이익 분석

1) (세전) 목표영업이익 달성 판매량 

세전목표영업이익 판매량 = 세전목표영업이익 + 고정원가 / 단위당 공헌이익

2) (세전) 목표영업이익 달성 매출액

세전목표영업이익 매출액 = 세전목표영업이익 + 고정원가 / 공헌이익률

 

2. 안전한계(M/S : margin of satefy)

(1) 안전한계란?

손익분기점 판매량(매출액)을 초과하는 실제 판매량(매출액)

손실을 발생시키지 않면서 허용할 수 있는 판매량(매출액)의 최대 감소폭

(2) 안전한계 판매량 : 실제 판매량- 손익분기점 판매량

(3) 안전한계 매출액 : 실제 매출액 - 손익분기점 매출액

(4) 안전한계율 (안전한계비율)

 현 상황에서 손실이 발생할 때 까지 허용할 수 있는 판매량(매출액)의 최대 감소비율

안전한계울 = 안전한계 판매량 / 실제판매량 = 안전한계 매출액 / 실제 판매

 

3. 영업레버리지 분석

(1) 영업레버리지(영업레버리지효과)

전체 원가 중 고정원가가 차지하는 비중이 클수록 매출액 변화율보다 영업이익 변화율이 더 크게 증가하는 현상

(2) 영업레버지리조( DOL : Degree of operating leverage)

DOL = 영업이익 변화율 / 매출액 변화율 = 공헌이익/ 영업이익 = 1/ 안전한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