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 작성일: 25.10.07
최종 작성일: 25.10.07
1절 계속 기록법과 실질재고조사법
1.1 수량 결정 방법
- 재고자산 금액 = 재고자산 수량 x 재고자산 가격
- 계속 기록법
>> 구입과 판매 시 재고자산 수량과 금액을 직접 기록
>> 상품 매입시 재고자산에 가산하고, 매출 시 재고자산에 차감(매출원가기록)
>> 기말재고 자산 가액 결정과정
기초재고자산+당기매입액 - 판매된 재고자산의 매출원가 = 기말재고자산가액 - 실질재고조사법
>>구입 : 매입계정 기록 ( 재고자산 계정 : 결산까지 기초재고액 유지)
>>판매: 재고자산 기록 하지 않음, 기말에 매출원가 산출
>>마감분개: 기초재고 제거, 기말재고 설정
>> 기말재고자산 가액 결정과정
기초재고자산+당기매입액 - 기말실사 재고자산가액 = 판매된 재고 자산의 매출원가
1.2 회계처리
- 계속기록법
- 실질재고조사법
1.2 재고자산의 가격결정
1.2.1 단위원가 결정방법의 필요성
사올때마다 단위원가가 달라짐
- 재고자산의 단위당 취득원가가 매입 시점마다 상이할 경우
→당기 판매된 재고자산과 당기 말까지 판매되지 않은 재고자산에 얼마의 매입 단가를 적용하느냐에 따라 매출원가와 기말재고자산의 금액이 달라지고 그 결과 당기손익도 영향을 받음 - 단위원가 결정방법(원가흐름가정) 선택하고 매 회계기간별로 동일한 가정을 적용
- 개별법, 선입선출법, 가중평균법
- 국제회계기준은 후입선출법 적용 불허
- 개별법이 적용되지 않은 경우 선입선출법, 가중평균법 사용
1.2.2 재고자산의 단위원가 결정방법
①개별법
- 개별재고자산 판매 or 재고 파악
- 개별 취득원가 적용(원가흐름=물적흐름)
- 소량고가 품목(귀금속등) 재고자산 별로 원가를 식별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경우 적절함
- 재고자산측정과 매출원가계산에서 경영자의 자의성이 개입될 여지가 존재
②선입선출법
- 구입순서 = 판매순서(계속기록법 = 실질재고조사법)
- 최근 구입분 => 기말재고 => 재무상태표에 재고자산이 현행원가에 가까운 금액으로 표시
실물 흐름과 원가흐름이 대체로 일치
③가중평균법
- 단가 = 판매가능원가/판매가능수량
- 선입선출법보다 적용 간편, 객관적, 이익조작 가능성 없다는 측면에서 선호되는 방법
- 광물자원과 같이 동질성이 높은 재고자산의 평가에 적합
- 평균은 기업의 상황에 따라 주기적으로 계산하거나 (월별, 분기별 가중평균법 등) 매입 또는 생산할 때 마다 계산(이동평균법) 가능
- 가중 평균법(실질재고조사법) : 한기간 => 판매가능원가/ 판매가능수량
- 이동평균법(계속기록법) : 구입시점 => 판매가능원가/ 판매가능수량
④후입선출법
- 오래된 구입가격으로 기말재고자산 평가 ( 최근 구입분 => 매출원가)
- 실질재고조사법 : 총 판매를 총 구입에 대응 시키는 방법
- 계속기록법 : 판매 직전 존재하는 구입에 판매를 대응시키는 방법
1-1)선입 선출법 = 1-2)계속 기록법 = 1-3)실질재고조사법
2-1) 계속 기록법(이동평균원가법), 2-2)실질재고조사법(가중평균법)
3-1) 후입선출법 → kifrs에서 인정안함
→최근에 매입한 재고자산의 원가부터 매출원가로 대체되기 때문에 현행원가에 가까운 매출원가를 현행유출가치로 측정된 매출수익에 대응
→ 회계기간 중에 매입단가가 상승할 경우 세금 상승 우려
1.2.3 단위원가 결정방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
2절 실질재고조사법 적용시 재고자산의 결산수정 분개
'스터디스터디 > 재무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자산(1) : 일반사항 (0) | 2025.10.10 |
---|---|
재고자산의 평가와 추정 (0) | 2025.10.08 |
재고자산의 인식과 측정(1) (0) | 2025.10.05 |
[WIP]수익인식(2): 건설계약 수익인식 (0) | 2025.09.30 |
수익인식(1) : 수익의 인식기준 (1) | 2025.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