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터디스터디/재무회계

재고자산의 인식과 측정(2)

최초 작성일: 25.10.07

최종 작성일: 25.10.07

 

1절 계속 기록법과 실질재고조사법

1.1 수량 결정 방법

  • 재고자산 금액 = 재고자산 수량 x 재고자산 가격
  • 계속 기록법
    >> 구입과 판매 시 재고자산 수량과 금액을 직접 기록
    >> 상품 매입시 재고자산에 가산하고, 매출 시 재고자산에 차감(매출원가기록)
    >> 기말재고 자산 가액 결정과정
    기초재고자산+당기매입액 - 판매된 재고자산의 매출원가 = 기말재고자산가액
  • 실질재고조사법
    >>구입 : 매입계정 기록 ( 재고자산 계정 : 결산까지 기초재고액 유지)
    >>판매: 재고자산 기록 하지 않음, 기말에 매출원가 산출
    >>마감분개: 기초재고 제거, 기말재고 설정
    >> 기말재고자산 가액 결정과정
    기초재고자산+당기매입액 - 기말실사 재고자산가액 = 판매된 재고 자산의 매출원가

1.2 회계처리

  • 계속기록법

  • 실질재고조사법

1.2 재고자산의 가격결정

1.2.1 단위원가 결정방법의 필요성

사올때마다 단위원가가 달라짐

  • 재고자산의 단위당 취득원가가 매입 시점마다 상이할 경우
    →당기 판매된 재고자산과 당기 말까지 판매되지 않은 재고자산에 얼마의 매입 단가를 적용하느냐에 따라 매출원가와 기말재고자산의 금액이 달라지고 그 결과 당기손익도 영향을 받음
  • 단위원가 결정방법(원가흐름가정) 선택하고 매 회계기간별로 동일한 가정을 적용
  • 개별법, 선입선출법, 가중평균법
  • 국제회계기준은 후입선출법 적용 불허
  • 개별법이 적용되지 않은 경우 선입선출법, 가중평균법 사용

1.2.2 재고자산의 단위원가 결정방법

①개별법

  • 개별재고자산 판매 or 재고 파악
  • 개별 취득원가 적용(원가흐름=물적흐름)
  • 소량고가 품목(귀금속등) 재고자산 별로 원가를 식별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경우 적절함
  • 재고자산측정과 매출원가계산에서 경영자의 자의성이 개입될 여지가 존재

②선입선출법

  • 구입순서 = 판매순서(계속기록법 = 실질재고조사법)
  • 최근 구입분 => 기말재고 => 재무상태표에 재고자산이 현행원가에 가까운 금액으로 표시
    실물 흐름과 원가흐름이 대체로 일치

 

③가중평균법

  • 단가 = 판매가능원가/판매가능수량
  • 선입선출법보다 적용 간편, 객관적, 이익조작 가능성 없다는 측면에서 선호되는 방법
  • 광물자원과 같이 동질성이 높은 재고자산의 평가에 적합
  • 평균은 기업의 상황에 따라 주기적으로 계산하거나 (월별, 분기별 가중평균법 등) 매입 또는 생산할 때 마다 계산(이동평균법) 가능
  • 가중 평균법(실질재고조사법) : 한기간 => 판매가능원가/ 판매가능수량
  • 이동평균법(계속기록법) : 구입시점 => 판매가능원가/ 판매가능수량

④후입선출법

  • 오래된 구입가격으로 기말재고자산 평가 ( 최근 구입분 => 매출원가)
  • 실질재고조사법 : 총 판매를 총 구입에 대응 시키는 방법
  • 계속기록법 : 판매 직전 존재하는 구입에 판매를 대응시키는 방법

 

 

 

1-1)선입 선출법 = 1-2)계속 기록법 = 1-3)실질재고조사법

2-1) 계속 기록법(이동평균원가법),  2-2)실질재고조사법(가중평균법)

3-1) 후입선출법  → kifrs에서 인정안함

→최근에 매입한 재고자산의 원가부터 매출원가로 대체되기 때문에 현행원가에 가까운 매출원가를 현행유출가치로 측정된 매출수익에 대응

→ 회계기간 중에 매입단가가 상승할 경우 세금 상승 우려

 

1.2.3 단위원가 결정방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

2절 실질재고조사법 적용시 재고자산의 결산수정 분개